백과사전 상세 본문
예거의 발달이론
20세기 이전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존하는 논문들은 그의 진짜 사상을 보여주는 글로 해석되었다. 그리고 발렌틴 로제처럼 없어진 대화편들이 모두 가짜라는 주장도 있었다. 이러한 해석의 밑바탕에는 아리스토텔레스처럼 엄밀하고 체계적인 정신을 가진 사람이 일관성없는 사상을 제시했을 리 없다는 가정이 깔려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전반 독일의 베르너 예거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이 단계적으로 발달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예거는 역사발생론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없어진 저작 대부분은 그가 아카데메이아에서 플라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때 지닌 사상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예거에 따르면 영혼불멸과 같은 주제에 대한 선호, 물질세계에 대한 경멸, 이데아의 '상기'(想起) 이론, 지혜의 우위, 금욕주의, 신의 존재 인정 등 초기 사상은 플라톤적이었으며, 그 뒤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점차 플라톤의 견해와 멀어져 관념론을 버리고 경험주의로 나아갔다.
예거의 발달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의 정확한 연대를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따라서 어느 논문이 어느 시점에 쓴 것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초기 사상만이 플라톤과 일치한다는 가정은 증명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예거의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과 관련해서는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초기에 영혼을 육체와 분리된 실체로 묘사했고, 육체를 영혼의 도구로 보는 중간 단계를 거쳐 마지막에는 영혼을 육체의 형상 또는 현실태로 봄으로써 영혼과 육체의 실체적 통일을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의 발달과 체계화에 관한 최근의 분석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들은 대체로 그의 사상이 단계적으로 발달했다고 볼 근거가 있지만 변화의 시점과 정도를 결정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현대 해석가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경험적 지식과 물질의 역동적 측면을 중시하게 되면서 플라톤의 관념론의 모든 측면을 거부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오히려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학에서는 실험적으로 연구하면서도 물리학에서는 지각과 사유, 사물의 우연적 특성과 본성 사이의 차이를 계속 주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의 진화에 관한 이론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