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나그노리시스

다른 표기 언어 anagnorisis

요약 문학작품에서 갑자기 어떤 사실을 깨달아 무지에서 앎의 상태로 바뀌는 것.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 Poetics〉에서 비극의 플롯을 이루는 본질적인 부분으로서 이것을 논하고 있지만 희극과 서사시, 뒤에는 소설에서도 아나그노리시스가 나타난다.

대개 아나그노리시스는 아버지가 어떤 낯선 사람이 자신의 아들이라는 것을 깨닫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처럼, 예전에 몰랐던 사람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다.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Oedipus Rex〉에서 가장 적절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거기에서는 한 사자(使者)가 오이디푸스에게 그의 출생의 진실을 밝힘에 따라 오이디푸스는 아내 이오카스테가 자신의 어머니이며 자신이 네거리에서 죽인 사람은 아버지이고 자신이야말로 테베에 불행을 가져온 잔혹한 죄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인식은 행운이 악운으로 바뀌어 결국 비극적인 결말에 이르는 페리페테이아('역전')와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더욱 높은 예술성을 얻게 된다. 그러나 아나그노리시스가 언제나 페리페테이아를 수반하는 것은 아니다.

〈오디세이아 Odyssey〉에서는 파이아키아의 통치자 알키노오스가 음유시인에게 트로이 전쟁에 관한 노래를 부르게 하여 난파당한 방문객을 즐겁게 해주려고 하지만 그 방문객이 울기 시작하여 오디세우스 본인임이 밝혀지기도 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극작가들이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아나그노리시스에 관해 논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상처·모반·증거물 등에 근거한 인식은 '재치의 빈곤에서' 나오는 가장 단순한 종류의 아나그노리시스이며, 플롯의 사건들에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아나그노리시스가 훨씬 더 많은 흥미를 일으킨다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적 비평).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나그노리시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