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실천

다른 표기 언어 practice , 實踐

요약 인간의 활동을 통해 객관적 실재, 즉 자연과 사회를 변형하는 사회적 과정의 총체.

실천(practice)

ⓒ Constantin Stanciu/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상어나 전문어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모든 생명활동, 의학·법학·경영학 등에서 전문가의 활동, 마술이나 종교의식, 일상생활에서 나오는 습관적 활동 등을 가리킨다. 흔히 실천은 이론과 상대적인 용어로 사용한다.

철학에서 실천은 보통 도덕적 행위, 경험 등과 동일시된다. 마르크스는 실천 개념을 독특하게 이해하여 이 개념을 하나의 철학범주로 만들었다. 데모크리토스에 따르면 올바른 생각과 말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 때 생기고, 행복하게 살고 싶은 사람은 행동에서 지나치지 않아야 한다. 플라톤은 실천에 관한 일반이론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실천, 특히 정치적 실천에 중요한 이론적 역할을 부여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보통 실천이론을 만든 최초의 사상가로 여겨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학문을 실천학·제작학·이론학으로 구분하고 이론학의 목적은 진리이고 실천학의 목적은 올바른 행위라고 주장했다.

프랜시스 베이컨에 의해 실천은 실험으로서 과학의 일부가 된다. 그에 따르면 앎과 인간의 능력, 진리와 효용은 서로 다르지 않고 일치한다. 존 로크에 따르면 실천이란 유용하고 좋은 일을 성취하기 위해 힘과 행동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헤겔의 경우 실천이란 특히 법과 정치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가리키며, 이념을 실현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포이어바흐는 실천을 감성적 활동으로 이해하고, 감각이 제공하는 자료에 기초한 이성만이 진리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르크스는 실천을 인간이 객관적 실재를 물질적으로 변형하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 예컨대 생산활동·정치활동·실험활동 등으로 이해함으로써 실천 개념을 철학 안으로 끌어들였다. 카를 마르크스에 따르면 실천의 기본적 측면은 생산활동이다. 생산활동은 인간의 생존을 보장해줄 뿐만 아니라 인간이 동물의 세계에서 벗어나 역사의 발달을 추진하게 해준다. 한편 마르크스에 따르면 실천 개념은 인식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르크스는 실천이 인간 인식의 참·거짓을 검증하는 기준이라고 주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실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