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702(숙종 28) |
---|---|
사망 | 1761(영조 37)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서학을 성리학적 입장에서 연구·비판했다.
본관은 거창. 자는 이로, 호는 하빈·돈와(遯窩).
1723년(경종 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평생을 학문연구에 몰두했다. 1724년 이익(李瀷)의 문하에 들어가 서학과 접하고 〈서학변 西學辨〉을 지었다. 이 책은 중국에서 활동중인 야소회(耶蘇會) 신부들이 지은 〈천주실의 天主實義〉·〈직방외기 職方外記〉 등의 저작을 성리학적 입장에서 비판한 것으로 영혼불멸설을 주장하는 천주교는 불교의 한 종파에 불과하다고 파악하고 천주를 창조주로 보지 않고 이미 존재하는 만물을 다스리는 상제로 이해했다.
이러한 서학연구를 통해 그는 전통적인 성리학에서 접하지 못한 새로운 사상세계를 알게 되었으나, 성리학을 완전히 극복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한편 일상생활의 실천윤리에도 관심을 기울여 〈소학차의 小學箚疑〉를 지었고, 〈중용〉·〈주역〉 연구에 힘써 〈주역상신편 周易象新編〉 7권과 〈중용해 中庸解〉를 저술했는데, 특히 〈중용〉의 장절(章節)에 대해서 주자와 다른 의견을 갖고 있었다.
그의 학문세계는 당대에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서학변〉이 실린 이만채(李晩采)의 〈벽위편 闢衛編〉이 1931년에 간행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