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시베리아 문화유형

다른 표기 언어

사회조직

야쿠트족을 제외하면 시베리아의 부족들은 전부 소규모의 극히 원시적인 부족으로서 사회적인 조직도 엉성한 편이었다. 전체적인 친족 유형은 모계 혈통에서 발전한 부계 혈통이었다)(→ 모계제).

이러한 현상은 친족명칭에서만이 아니라 종교적 요소에서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샤먼은 남자이면서도 여자의 옷을 입는 등 어떤 측면에서는 양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순록 사육에 관한 것을 예외로 한다면 서구적인 의미의 소유 개념도 매우 약했다.

기술과 경제

시베리아인들의 기술과 예술은 주로 뿔, 상아, 나무, 조류·포유류·물고기의 껍질이나 가죽, 깃털을 이용한 것이었다. 철광은 남쪽의 부족들이나 러시아인과의 교역을 통해 얻었다. 화기가 도입되기 이전의 무기는 활과 화살, 매머드나 해마의 뿔로 만든 날카로운 창이었다. 많은 부족들이 나무껍질로 배를 만든 뒤 자연재료를 이용해서 복잡한 모양의 그림을 그려넣었다. 요리용 그릇은 쇠를 이용해 만들거나 러시아에서 들여왔으며, 옷은 동물의 가죽으로 지어 정교하게 장식했다.

일반적으로 가옥은 이동식으로서 기둥과 가죽을 이용해 짓거나 나뭇가지와 잔디를 한 겹 깔고 지었다. 시베리아 지역의 특이한 가옥인 발라간(balagan)은 일종의 썰매 위에 지어져 순록이 끌고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1581년 카자크 기병의 원정을 기점으로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원주민의 경제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 소형 화기, 금속 덫 등이 도입되자 사냥과 어로가 더욱 편리해졌다. 원주민들은 모피교역에 참여하게 되었지만 당시 유럽의 영향 때문에 기본적인 생활방식이 바뀌지는 않았다.

종교

시베리아인들의 종교는 그들의 경제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종교의 중심은 자연세계와 초자연의 세계를 매개하는 샤먼이었다. 샤먼은 사람들의 질병을 치료했고, 경제활동에 관한 상담을 했으며, 외부의 공격에 대해서 집단을 보호해주었다. 샤먼이 행하는 의식은 시·노래·복화술·주술 등 여러 분야에 걸친 샤먼의 완벽한 기술에 의해 한층 더 빛났다.

예술

시베리아의 민속에는 기원 신화, 주술가, 속담, 초보적인 서사시 등이 포함된다. 러시아의 문화적 영향은 여러 곳에서 발견되지만 그리 심각한 것은 아니다. 악기의 종류는 그리 다양하지 않았다. 샤먼이 사용하거나 춤의 반주를 할 때 쓰던 북(정확히 말하면 탬버린) 이외에는 나무 또는 금속제의 하프와 뿔로 된 리드 파이프가 있을 뿐이었다.

시베리아의 남쪽 경계인 알타이 고지와 바이칼 호 부근에 정착해 사는 러시아인들로부터 농업을 도입하고, 러시아 정교를 받아들이기도 했다. 이 지역에 러시아가 미친 영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범들을 오지로 유형 보내던 러시아 정부의 정책이었다. 그러나 러시아인이 본격적으로 이주하게 된 것은 시베리아 철도 건설(1891~1905) 이후였다. 이외에도 시베리아의 일부 지역에는 오래전부터 정착해 살던 러시아 농민들이 있었다. 시비랴크(Sibiryaks)라고 불리는 이들은 유럽권 러시아 문화와는 상당히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시베리아 문화유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