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웨덴과 한국과의 관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스웨덴과 한국의 외교관계는 1960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주스웨덴 한국상주대사관과 주한국 스웨덴상주대사관은 각각 1963년, 1973년 문을 열었다. 2010년 양국 수교 60주년을 맞으면서 양국의 경제, 사회, 문화적 교류는 보다 확대 발전됐으며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항공기, 의약품, 통신장비 등이다. 2017년 외교부는 노르딕문화예술축제를 개최해 한국에 스웨덴을 포함한 북유럽 4개국의 문화예술을 소개해 양국의 문화를 교류시킬 예정이다.

스웨덴과 한국

스웨덴과 한국의 국기 모습

ⓒ esfer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교

남·북한 동시수교국으로서 한국과는 1959년 3월 공사급 외교관계가 수립돼 1960년 10월 대사급으로 승격됐다. 공식외교관계가 수립되기 전인 6·25 전쟁 때 우방국으로 참전해 야전병원선을 파견했으며, 1958년에는 덴마크·노르웨이와 함께 ‘중앙의료원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고 소요재원을 공동투자해 전상병을 비롯한 환자진료와 의료요원의 교육을 목적으로 한 메디컬 센터(지금의 국립의료원)을 설립했다.

1963년 주스웨덴 한국상주대사관이, 1973년 주한국 스웨덴상주대사관이 설치됐다. 양국은 1967년 4월 무역에 관한 의정서를 체결한 이래 점차 교역을 늘려가고 있다. 북한과는 1973년 4월 외교관계가 수립돼, 그 해 6월에 주스웨덴 북한대사관이 설치됐다. 1962년에 교민과 체류자들의 친목단체로 재스웨덴 한인회가 조직됐다. 1988년 서울올림픽이 개최되고 스웨덴 선수단이 입국했다. 2010년에는 6·25전쟁 60주년을 맞아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 협약이 체결됐다.

한국에서는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이 스웨덴을 방문했으며, 스웨덴에서는 칼 구스타프 16세 국왕이 2008년, 2012년에 방문해 회담을 가졌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양국은 1960년 수교 설립 이래 꾸준한 교역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으며 상호 보완적 수출입 산업 구조를 이뤄 규모가 더욱 더 확대될 전망에 있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항공기, 의약품, 통신장비, 승용차, 자동차 배터리 등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대스웨덴 수출액은 11억 369만 달러이고, 대스웨덴 수입액은 13억 9,770만 달러이다.

1995년 스웨덴은 EU 회원국이 됐고, 한국이 2010년 한국-EU FTA 협약을 맺으며 양국의 교역이 더욱 확장됐다. 이 밖에 무역의정서(1967), 사증면제협정(1969), 이중과세방지협정(1981), 경제산업기술 및 과학협력협정(1985), 투자보장협정(1995), 군사기밀보호협정 및 국방협력 양해각서(2009), 한국-스웨덴 사회보장협정(2013) 등이 체결돼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등 북유럽 4개국 중 한인이 가장 많은 나라는 스웨덴인데, 6.25전쟁 참전을 계기로 인연을 맺은 한국인들이 이주를 시작해서 정착, 약 2,000여 명의 교민이 살고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한국고아 4만여 명이 입양되어 성장함으로써 한인사회를 이루는 토대가 되었다. 2017년 11월 외교부는 노르딕문화예술축제를 개최해 스웨덴을 포함한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등 북유럽 4개국의 문화예술을 소개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스웨덴과 한국과의 관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