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웨덴의 경제

다른 표기 언어

스웨덴은 주로 서비스업·중공업·국제무역 등을 기초로 한 선진화된 시장경제체제를 이루고 있다. 국민총생산(GNP)이 인구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해 1인당 GNP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농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 미만이며,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도 전체 노동인구의 4% 정도에 그친다. 토지면적의 7%만이 경작되며, 농장은 규모는 작으나 고도로 기계화되어 있다. 정부는 여러 종류의 세금을 거둬들여 농업을 보호하며, 농산물은 국내수요의 80%를 충당한다. 스웨덴 농장들의 생산성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주요작물로는 밀·사탕무·보리·귀리·감자 등이 있다. 가축 사육(특히 돼지와 소) 및 우유 생산도 고도로 발달해 있다.

스웨덴 경제

스웨덴 국내총생산(GDP) 비율(1996-2006)

ⓒ Jkv/wikipedia | Public Domain

국토의 2/3가 삼림으로 뒤덮여 있으며 1년 내내 관리가 이루어진다. 스웨덴은 주요 목재 수출국이기도 하다. 조립식 주택, 판자, 가구 등 다양한 나무 제품들이 생산된다. 철강생산이 광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거의 정부가 관리한다. 스웨덴 철강업은 서유럽을 주요 시장으로 하고 있다. 구리도 다량 채굴된다. 스웨덴은 화석연료가 부족해 석유·천연 가스·석탄·농축핵연료를 수입에 의존한다.

제조업이 발달했고 다양화되어 있어 GDP의 약 24%를 차지하며 전체 노동인구의 1/5이상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중공업이 지배적이며 자동차·비행기·기계·철강 제조가 주종을 이룬다. 경공업은 전자·통신 장비, 금속·플라스틱 가공, 유리제품 등에 집중되어 있다. 그밖에 약품·의료기기, 석유화학제품, 가공식품을 생산한다. 전기는 수력 및 원자력 발전을 얻는다. 다양한 풍광과 매력적인 대외 이미지를 자원으로 한 관광업 역시 중요한 산업이다.

스웨덴 원자력 발전소(Ringhals Nuclear Power Plant)

ⓒ Tubaist/wikipedia | CC BY-SA 3.0

스웨덴은 고도로 발달된 철도망과 광범위한 국도 및 고속도로 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이 적어도 1대의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 국제항공 서비스는 스칸디나비아항공사(Scandinavian Airlines System/SAS)가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항공은 리녜플뤼그(Linjeflyg/LIN)가 맡는다. 스톡홀름·예테보리·말뫼에 있는 공항들은 국제 및 국내 운항을 모두 담당한다. 수출은 GDP의 약 1/3을 차지한다. 펄프·목재·철강과 같은 제품들에서 자동차·통신장비 및 그밖의 완제품으로 수출의 비중이 옮아갔다. 독일·영국·미국·노르웨이·핀란드·덴마크가 스웨덴 수출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스웨덴 철도

ⓒ Leonid Andronov/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톡홀름 중앙역(Stockholm Central Station

스웨덴에서 가장 큰 기차역

ⓒ michell zappa/wikipedia | CC BY-SA 2.0

스칸디나비아항공사(Scandinavian Airlines System)

스칸디나비아항공사 본사 모습

ⓒ Xauxa/wikipedia | CC BY-SA 4.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스웨덴의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