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송어

다른 표기 언어 trout , 松魚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연어목 > 연어과 > 연어속
원산지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 유럽 (러시아)
서식지 하천, 바다
먹이 새우
크기 약 60cm
무게 약 2kg ~ 4kg
학명 Oncorhynchus masou
식성 잡식
용도 구이용, 조림용, 초밥용

요약 연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한국과 동해로 흐르는 일부 하천, 북한, 일본, 사할린 등지에도 분포한다. 몸은 길고 좌우로 납작한 편이며, 비늘은 작고, 옆줄비늘수는 112~140개이다. 등쪽은 짙은 청색이고, 약간의 작은 흑색 점이 흩어져 있으며, 몸의 양 옆은 은백색이다. 새우와 작은 물고기를 먹으며, 평균 수온 섭씨 7~13도의 깨끗한 물에만 산다. 식재료로 쓰일 때에는 초밥 등에 이용된다.

개요

송어

ⓒ 해양수산부 | CC BY-NC-ND

연어속에 속하는 생선. 한국의 동해와 동해로 흐르는 일부 하천에 분포하며, 북한, 일본, 사할린, 연해주 등지에도 분포한다. 몸은 길고 좌우로 납작한 편이며, 비늘은 작고, 옆줄비늘수는 112~140개이다. 등지느러미 뒤쪽에 기름지느러미가 있다. 등쪽은 짙은 청색이고, 약간의 작은 흑색 점이 흩어져 있으며, 몸의 양 옆은 은백색이다. 전장은 40~50cm 정도가 가장 흔하며, 60cm 이상인 개체는 매우 드물다.

어렸을 때는 몸의 양옆에 10개 내외의 크고 둥근 흑색 반문이 있는데 바다로 내려갈 때가 되면 이 반문은 모두 없어진다. 그러나 어린 송어가 바다로 내려가지 않고 하천에 남아 있게 된 육봉형 또는 하천잔류형의 경우에는 몸의 양옆에 있는 반문이 일생 동안 없어지지 않는다.

한국의 동해에서 사할린, 오호츠크 해까지 회유하며 새우류,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는다. 산란기는 9~10월이며 7~9월 사이에 비가 와서 강물이 불어나면 소상해 산란기까지 깊은 곳에서 기다린다. 암컷이 여울의 자갈을 꼬리지느러미로 파낸 다음 수컷과 함께 산란, 방정이 이루어지며, 알은 바로 묻어서 보호한다. 전장 40~50㎝인 개체는 흔히 볼 수 있으나, 전장 60㎝ 이상인 개체는 매우 드물다.

특징

송어는 붉은 살이 매력인 생선으로, 연어와 유사한 살을 갖고 있고 맛과 식감도 비슷하다. 특히 근육의 질감과 고급스러운 맛이 특징이며, ‘송어’라는 이름도 살결이 소나무와 같다고 하여 붙은 것이다. 고단백 저지방 식품이며 불포화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대표 효능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철분, 나트륨, 인, 나이아신, 칼륨, 레티놀

고르는 법

송어는 지나치게 큰 것 보다는 중간 크기가 맛이 좋다. 표면이 매끄럽고 탄력이 있으며 살이 투명하고 붉은 빛이 선명한 것이 좋다.

조리법

송어는 주로 초밥이나 스테이크로 만들어 먹는다. 이때 송어 특유의 흙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잡아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약간의 열을 가하면 흙내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밖에 회로도 먹기도 한다.

음식 궁합

송어는 비타민이 많은 재료로 다른 영양소를 보충해줄 수 있는 재료와 함께 먹으면 좋은데, 특히 콩가루를 곁들여 먹으면 콩의 단백질이 영양을 보완해주어 좋은 궁합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6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송어/산천어


[Daum백과] 송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