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속초항

다른 표기 언어 束草港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 있는 무역항. 청초호 연안의 오랜 어항이었다가 점차 발전하여 1970년대 들어 화물량이 증가하면서 급속하게 확장되었다. 청초호 안쪽을 흔히 속초항, 바다쪽을 동명항이라고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 금강산 관광이 시작된 후에는 속초항 여객터미널에서 금강산 관광 여객선이 출항했다. 인근에 전망대와 연금정, 월남한 실향민들이 모여 사는 아바이 마을 등의 관광지가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 있는 항구. 어항, 철광석 적출항(積出港), 관광항 등 여러 가지 기능이 결합된 무역항이다. 청초호(靑草湖) 입구의 북쪽을 막고 있는 영랑동의 돌출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청초호의 입구를 넓히고 깊이 파내어 내항으로 개발했다. 주요 항만시설은 5,000t급 선박 2척이 접안할 수 있는 물량장 1,187m, 안벽 262m, 외곽시설인 방파제 1,651m, 호안(護岸) 1,842 m를 갖추고 있다. 연간 하역능력은 69만 7,000t이다. 지역주민은 청초호 안쪽 부두를 속초항, 바다쪽 외항을 동명항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래 연근해 어장의 풍부한 수산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청초호 연안에 어촌이 형성되면서 어항으로 발전했다. 1905년 동해연안항로가 개설되어 선박의 기항지로 이용되다가, 1937년경부터 양양철광산의 개발로 크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1962년 지정항에서 1964년 개항장이 되었고, 그후 1970년대에 들어 철광석·무연탄·유류 등의 화물량이 급증하면서 항세가 크게 증대되었다. 금강산 관광이 시작된 후에는 금강산 관광 여객선이 속초항 여객터미널에서 출항했다. 2005년 7월에는 남북직교역항만으로 지정되었고,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와 자루비노, 중국 훈춘으로 가는 여객선이 속초항 여객터미널에서 출발한다.

내항인 청초호 는 속초항을 출입하는 어선들의 정박지이며, 특히 풍랑시 대피정박지로 이용되고 있다. 바깥쪽 사취(沙嘴)에 방파제 시설이 되어 있으며, 호수 입구에 접한 해안에도 정박이 편리하여 천연의 양항을 이룬다. 청초호 연안에는 조선소와 냉동·제빙 공장 등을 비롯해 수산물 위판장이 자리잡고 있다. 난류와 한류가 교차하는 연안일대에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7~10월에 오징어, 4~6월에 꽁치를 비롯해 노가리 등이 많이 어획된다. 최근에는 설악산국립공원과 동해안을 끼고 있는 관광항으로 발전했다. 속초항 남쪽으로는 한국전쟁 때 월남한 실향민들이 모여 거주하는 아바이 마을이 있어 북한 전통 음식들이 전승되고 있다. 전망대와 영금정 등의 관광지가 인근에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강원도

강원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강원도 바다 여행지

추천항목


[Daum백과] 속초항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