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성산대교

다른 표기 언어 城山大橋

요약 한강을 가로질러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과 영등포구 양평동6가를 잇는 다리. 1980년 완공되었으며, 양화대교의 교통량 분산과 김포국제공항에서 도심 진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성산대교

성산대교,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과 영등포구 양평동6가를 잇는다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과 영등포구 양평동6가를 연결하는 한강 횡단 교량.

역사와 특징

1977년 4월 6일 착공하여 1980년 6월 30일 완공되었다. 설계는 한국종합, 시공은 현대건설이 맡았다. 한강의 12번째 교량이다. 서대문구 현저동에서 시작해 신촌을 거치며 영등포를 지나 경인고속도로로 연결되는 도로인 성산로의 건설과 함께 놓여졌다.

하부는 우물통기초 20기, 파일 기초 2기로 되어 있다. 반달형 아치를 세워 교량의 직선미와 곡선미를 조화시켜 아름다운 조형미를 이루고 있다. 또한 교량 양쪽에 입체교차시설을 완비하는 등 한국 교량 건설의 수준을 입증한 건축물로 꼽히고 있다.

규모와 구조

길이 1,040m, 너비 27m, 왕복 6차로이다. 구조형식은 게르버트러스, 강판형교(steel plate girder bridge)이며, 최대 경간장은 120m이다. 차량설계하중은 DB18(2등교), 통행기준 32t이다.

교통

성산대교의 개통에 따라 양화대교 및 신촌지역의 외곽교통량이 분산 처리되어 도심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었다. 성산대교 북단에서는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가양 방면과 남양주 방면으로, 내부순환도로와 연결되어 상암 방면과 성동 방면으로 진출입이 가능하다. 남단에서는 노들로와 연결되어 양화교 방면과 한강대교 방면으로 진출입이 가능하며, 서부간선도로와 연결되어 소하 방면으로, 서부지하도로를 통해 금천 방면으로 진출입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성산대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