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강을 가로질러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 다리. 1965년 처음 '제2한강교'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으며, 증가하는 교통량에 대응하여 1982년 새로 교량을 개통하고 기존 교량과 함께 '양화대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6년 성능개선과 보강공사를 시작하여 구교는 2000년, 신교는 2002년 개통했다.
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연결하는 한강 횡단 교량.
역사와 특징
양화대교는 처음 '제2한강교'라는 명칭으로 1962년 6월 착공하여 1965년 1월 25일 준공되었다. 이 교량은 급증하는 서울시의 교통량을 완화하고, 영등포지역 등 외곽지대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처음에는 교량폭 18.0m, 차도폭 13.6m(4차선), 보도 4.40m(2.20×2m) 규모였다.
이후 증가하는 교통량에 대응하여 1979년 1월 신교량을 착공, 1982년 2월 2일 준공, 기존 교량과 함께 한강종합개발계획과 더불어 '양화대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교량의 전구간 교폭이 18m에서 34.1m로 확장되었으며, 남·북단에 완전 입체교차로 시설이 설치되었다. 이후 1996년 성능개선과 보강공사를 시작하여 구교는 2000년 6월 25일, 신교는 2002년 4월 1일 개통했다.
규모와 구조
양화대교는 상하로 나뉘어진 두 개의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은 길이 1,053m, 너비 16.205m, 4차로이며, 하는 길이 1,048m, 너비 17.05m, 4차로이다. 구조형식은 강판형교(steel plate girder bridg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형교(PSC box girder bridge)이며, 최대 경간장은 112m이다. 차량설계하중은 DB24(1등교), 통행기준 40t이다. 상부구조는 3경간 연속 강판형 거더 448m와 콘크리트 박스 거더 600m로, 하부구조는 중력식 교대와 부벽식 교대 각각 2기로 구성되었다.
교통
양화대교는 김포국제공항에서 서울 도심까지 거리 4㎞, 시간 20분(건설당시 기준)을 단축시켰고, 경기서부지방과 인천지방, 영등포지역 및 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서울의 서부관문으로 역할해왔다.
양화대교 북단에서는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가양 방면과 남양주 방면으로, 남단에서는 노들로와 연결되어 염창 방면과 한강대교 방면으로 진출입이 가능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