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양천구

다른 표기 언어 陽川區

요약 서울특별시의 서남부에 있는 구.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63년 서울시로 편입되어 영등포구 관할이었다가 1968년 양서출장소에 속하게 되었다. 1977년 강서구에 속했으며, 1988년 강서구에서 분리·신설되었다. 신정·목·신월 등 3개동이 있으며, 구청소재지는 목동동로 105이다. 면적 17.40㎢, 인구 435,548명(2024)이다. 동쪽으로 안양천이 북류하여 한강에 유입하고, 서쪽과 남쪽으로는 낮은 구릉지가 펼쳐진다. 시가지는 1960년대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철거민들이 대규모로 집단 이주한 목동·신정동·신월동 지역과 1979년부터 조성된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단지로 구분된다. 1989년에 목동종합운동장을 건립했으며, 1996년 12월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되면서 심각했던 교통 체증이 완화되고 있다.

양천구는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에 속했던 지역으으로, 1963년에 서울시의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영등포구 관할하에 있다가, 1968년 양서출장소에 속하게 되었다. 1977년 신설된 강서구에 속했으며, 1988년 강서구에서 분리·신설되었다. 구의 동쪽으로는 안양천이 북류하여 한강에 유입하고, 연안에 배후습지가 넓게 분포한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기반암의 오랜 침식으로 형성된 낮은 구릉지가 펼쳐진다.

양천구

ⓒ 안우석/wikipedia | CC BY-SA 3.0

시가지는 1960년대말부터 1970년대 중반에 걸쳐 철거민들이 대규모로 집단 이주한 목동·신정동·신월동 지역과 1979년부터 계획이 수립되어 조성된 목동신시가지 아파트 단지로 구분된다. 목동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동부지역은 주거 환경이 비교적 양호하며, 안양천변의 고수부지에는 시민들을 위한 체육시설이 있다. 반면에 부천시와 인접한 서부지역은 저산성 구릉지와 소규모의 농경지가 혼재하고, 아파트 보다는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의 주거 형태가 많다.

목동 신시가지에는 1988년에 신시가지의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열병합발전소를 설립했고, 1989년에 목동종합운동장을 건립했으며, 아파트 단지 내에 약 4만㎡의 메밀꽃 단지를 조성했다. 그밖에 용왕산에 신정제1우수배제펌프장, 신월동에 김포수원지, 신정동에 신정제2우수배제펌프장과 지하철차량기지가 있다.

구의 동서를 경인고속도로가 지나고, 신월로·오목로·신정로·남부순환도로가 있으나 병목현상으로 교통체증이 극심하다. 그러나 1992년에 지하철 2호선이 양천구청까지 지선으로 연결되었고, 1996년 12월에 지하철 5호선이 완전 개통되어 심각한 교통체증 현상이 완화되고 있다.

2014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50개소, 초등학교 30개교, 중학교 19개교, 고등학교 14개교(일반 10, 특성화 2, 자율 2)등이 있다.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2개소, 병원 6개소, 요양병원 3개소, 의원 269개소, 치과의원 181개소, 한방병원 3개소, 한의원 146개소, 보건소 1개소, 보건분소 1개소가 있다.

신정동·목동·신월동 등 3개동이 있으며(법정동 기준, 행정동은 목 1, 2, 3, 4, 5동, 신월 1, 2, 3, 4, 5, 6, 7동, 신정 1, 2, 3, 4, 6, 7동 등 18개 동), 구청소재지는 목동동로 105이다. 면적 17.40㎢, 인구 435,548(2024), 인구밀도 27,830명/㎢(2016).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울

서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양천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