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어느 나라에서든 상수도는 직접 음용 가능한 물의 공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구체적 수질요건으로서 각국에서는 수질기준이 정해지고 수돗물의 수질 레벨이 향상 되었다. 그러나 오염이 확산되고 분석기술이 진보한 오늘날에는 환경수 중에서 많은 종류의 인공합성 화학물질이 미량이지만 검출되고 있어 안전한 물의 기준은 유동적인 상태이다.
영국과 네덜란드에서는 종래부터 수돗물의 수질요건으로서,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건전해야 한다고만 규정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종래의 수질기준(스탠더드)에 대신하여 새로이 수질 지침(가이드 라인)을 작성했다(1984).
여기에서는 음료수의 안정판정의 기준과 처리목표로서의 기준은 각국이 그 국내상황(물 사정, 사회 전체의 환경 레벨, 기술력, 경제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해야하는 것이며 지침은 그것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에 불과하다는 전제 아래, 오염물질별 유해정도·검출한계·감지한계폭 등의 기준을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환경
환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