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한국의 상수도

다른 표기 언어

전통적으로 하천이나 지하수의 물을 길어 생활용수로 사용했던 한국에서, 근대적 의미의 상수도 시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초이다.

개항과 근대화의 물결 속에 서울·부산·인천·목포 등의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자 자연히 물이 부족하게 되었고, 수인성 전염병이 만연함으로써 상수도 시설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03년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토윅이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상수도부설경영의 특허를 받아냈으며, 영국인 회사인 조선수도회사가 이 특허권을 양도받아 1906년 8월 뚝도수원지공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1908년 이 수원지가 완공되어 서울시에 수도를 공급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한국 상수도의 효시이다. 이후 수도사업은 부산·인천·평양·대구 등의 도시로 확대되어나 갔다.

그후 한일합병이 이루어짐에 따라 1910년 이후에는 조선총독부가 수도사업을 관장하게 되었다. 조선총독부는 도시선정과 급수지역을 엄격히 규제하면서 거의 일본인 기술진에게만 시공하게 했다. 점차적으로 진행된 수도사업 결과 8·15해방 당시 수도보급현황은 급수도시 총 83개소, 급수인구 약 200만 명에 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인구의 도시집중현상 이 가속화됨에 따라 절대공급량이 부족하게 되었고, 6·25전쟁으로 전국 40여 개 도시의 수도시설이 파괴됨으로써 급수부족 문제는 더욱 심각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그러던 중 1954년부터 국제원조로 급수시설의 복구·확장·신설공사가 진행되어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간에는 급수보급률이 22%로 확대되었다. 그후 꾸준히 추진된 수도사업으로 급수보급률은 계속 증가해 1971년에는 36%, 1976년에는 50%, 1981년에는 57%를 나타냈다.

한편 1976년 부터는 수도사업이 완전독립채산제로 운영되게 되었으며, 국제금융기관과 외국정부 차관에 의한 정부재정융자를 통해 서울·인천·부산·대구·대전·청주·광주 등 7개 도시의 수도 시설을 개선하는 일도 시작되었다. 한편 1960년대부터 도시인구가 팽창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각종 생활용수의 수요가 증가하고, 공장폐수와 생활하수가 한강하류에 흘러들어 서울의 수도원인 한강이 오염됨에 따라, 수원지를 팔당으로 옮기는 수도권광역상수도사업을 시행하게 되었다. 그결과 1981년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업이 완수되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4개 지역에 약 260만t의 물을 공급하게 되었다.

그리고 1984년에는 1976년에 착공된 금강수계사업이 완공되어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27개 도시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게 되었다.

8·15해방 이후 한국의 수도사업은 발전을 거듭하여, 1954년 22%에 불과하던 급수보급률이 1986년에는 64%, 1991년에는 80%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해방 당시 100개소가 안 되던 급수도시도 약 400여 개소로 늘어났다. 그러나 아직도 읍·면 지역은 시지역에 비해 매우 뒤떨어져 있고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도 남아 있는 실정이므로, 1996년까지는 보급률을 85%로 높이고 급수도시도 약 500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현재 광역상수도사업 및 지방상수도확장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산업경제의 발전, 폭발적인 인구증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폐기물의 폭증 등으로 수질이 심하게 오염됨에 따라 수질오염문제는 상수도사업에서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정에서 흘러나오는 생활폐수나 정수처리 되지 않은 채로 공장에서 흘러나오는 폐수 등이 상수원들을 심하게 오염시켜 식수로 적합하지 않은 물이 공급되기도 하는 등 문제의 심각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또 몇몇 수원지는 오염도가 너무 높아 식수는 물론 공업·농업 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적인 광역수질오염조사를 실시해 정확한 수질오염의 정도와 원인을 밝힘과 동시에 오염원을 막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한국의 상수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