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유담

다른 표기 언어 parable , 比喩談

요약 도덕적·종교적 진술을 담고 있는 짧은 허구적 이야기. 동물, 무생물은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화와는 다르지만, 간결함, 평이함을 근본 특성으로 하는 점에서는 우화와 비슷하다.

그리스어로 '비교' 또는 '비유'라는 뜻의 parabol대체이미지에서 유래했다. 원래 이 말은 그리스의 수사학적 비유의 하나를 가리키는 것으로, 문학적 실례를 포함해 일종의 확대된 직유에 해당했다.

비유담은 내용이 그럴 듯하고 의인화한 동물·무생물은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화(寓話)와는 다르지만, 간결함·평이함을 근본 특성으로 하는 점에서는 우화와 비슷하다. 비유담이 어떤 이야기를 예로 드는가 하는 것은 어떤 특정한 인간행동과 일반적인 인간행동 사이에서 어떤 유추를 끌어내느냐에 달려 있다. 비유담은 이야기가 단순하기 때문에 신비스럽고 암시적인 성격을 띠게 되며, 특히 도덕적·종교적인 진리들을 가르치기에 적합하다. 비유담은 이미 그 내용을 알고 있는 사람들만이 알아차릴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만이 비유담의 간결하고 수수께끼 같은 구조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비유담은 〈신약성서〉에 나오는 것들이다. 거기서 예수는 허구이지만 사실에 가까운 이야기들을 통해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 형식을 쓴다. 〈구약성서〉에도 비유담이 나오지만(Ⅱ사무 12 : 1~9, 14 : 1~13) 〈신약성서〉의 비유담에 비하면 그다지 인기를 얻지 못했다.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종교적인 이야기나 비유담은 널리 쓰이는 설교방법이었다. 비유담이 지닌 더욱 역설적인 측면들은 19세기 덴마크의 철학자 쇠렌 키에르케고르가 그리스도교 신앙과 실천에 대해 쓴 논문들을 통해 되살아났다. 키에르케고르는 이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프란츠 카프카의 수수께끼 같은 작품들과 알베르 카뮈의 글에 영향을 주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유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