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

다른 표기 언어 비외른손 , Bjørnstjerne Martinus Bjørnson 동의어 비에른스티에르네 마르티누스 비에른손
요약 테이블
출생 1832. 12. 8, 노르웨이 크비크네
사망 1910. 4. 26, 프랑스 파리
국적 노르웨이

요약 노르웨이의 시인·극작가·소설가·언론인·편집인·대중 연설가·연극연출가. 1903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

Bjørnstjerne Bjørnson

당대 노르웨이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헨리크 입센, 알렉산더 헬란, 요나스 리와 더불어 19세기 노르웨이 문학의 '4대 거장' 가운데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쓴 시 〈예, 우리는 이 땅을 영원히 사랑합니다 Ja, vi elsker dette landet〉는 노르웨이 국가이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롬스달렌이라는 작은 농촌마을에서 자랐는데, 이 마을은 나중에 그가 쓴 농촌 소설의 무대가 되었다.

처음부터 명확하게 교훈적인 의도를 갖고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노르웨이의 역사와 업적에 대해 국민적 자부심을 자극하고 이상을 제시하려고 애썼다. 작가 생활을 시작한 뒤 15년 동안 북유럽의 전설과 자신이 알고 있던 당시 노르웨이의 시골생활에서 영감을 얻어 글을 썼다. 그는 이 두 분야를 번갈아 이용했고, 자신의 이러한 집필방식을 '윤작'체제라고 불렀다. 북유럽 전설에서 얻은 자료는 희곡으로 결실을 얻었으며 당대의 농촌생활에 대한 자료는 소설로 수확을 얻었다.

이 두 분야는 모두 새시대의 노르웨이를 옛날의 노르웨이와 이어주는 고리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국민적 사기를 높이는 데 이바지했다. 이 윤작체제방식이 낳은 초기 성과로는 농민소설 〈양지 바른 언덕 Synnøve solbakken〉(1857), 단막 역사극 〈전투와 전투 사이 Mellem Slagene〉(1857), 소설 〈아르네 Arne〉(1859)·〈행복한 소년 En glad gut〉(1860), 희곡 〈절름발이 훌다 Halte-Hulda〉(1858) 등을 들 수 있다.

1857년에 입센의 후임으로 베르겐 극단의 예술감독이 되어 1859년까지 일했다.

1858년에 여배우인 카롤리네 라이메르스와 결혼했고, 〈베르겐포스텐 Bergenposten〉지의 편집인이 되었다. 1859년 선거에서 보수당 국회의원들이 패배하고 얼마 후 자유당이 결성될 수 있었던 것은 일부 그가 이 신문에서 보인 활동 때문이기도 했다. 비외른손은 3년 동안 해외를 여행한 뒤 크리스티아니아 극단의 연출가가 되었고, 1866~71년에는 〈Norsk Folkeblad〉지를 편집했다. 같은 시기에 〈시와 노래 Digte og sange〉(1870) 초판이 나왔고, 서사시인 〈아른리오트 겔리네 Arnljot Gelline〉(1870)도 발표되었다.

정치 투쟁과 문학인들간의 싸움에 너무 많은 시간을 빼앗기던 비외른손은 글쓰는 데만 전념하기 위해 노르웨이를 떠났다. 결국 국제적 명성을 가져다준 희곡 〈파산 En fallit〉(1875)·〈편집자 Redaktøren〉(1875)는 스스로 택한 망명 생활에서 얻은 성과였다. 이 2편의 희곡은 뒤이어 발표한 희곡 〈왕 Kongen〉(1877)·〈새로운 체제 Det ny system〉(1879)와 마찬가지로 문제를 제기하고 거기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덴마크 작가이자 비평가인 게오르그 브란데스가 주장하던, 당대문학이 제공해야 하는 바를 충족시켰다.

후기 작품으로는 소설 〈쿠르트가의 유산 Det flager i byen og påhavnen〉(1884)·〈신의 뜻대로 På Guds veje〉(1889)·〈우리의 힘이 미치지 않는 곳 Over Ævne Ⅰ〉(1883)·〈인간의 힘이 미치지 않는 곳 Over Ævne Ⅱ〉(1895)을 비롯한 수많은 감동적 희곡들이 남아 있다.

〈쿠르트가의 유산〉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비판적으로 다루고 기적에 대한 믿음을 비난한 반면, 〈신의 뜻대로〉는 사회 변화를 다루면서 그런 변화는 우선 학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밖에도 〈파울 랑게와 토라 파르스베르그 Paul Lange og Tora Parsberg〉(1898)는 정치적 편협함을 주제로 했다. 만년에는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며 세계 평화와 국가간의 화해를 위해 지칠 줄 모르고 열심히 일했다.

비외른손은 세계적인 명성을 누렸고, 그의 희곡은 유럽에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확립하는 데 이바지했다. 1903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노벨문학상 수상자

추천항목


[Daum백과]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