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복합비료의 양분은 질소·인산·칼리 순으로 표시하는 것이 표준이다. 비료의 분석 또는 규격은 보통 질소(N) 총량, 인산(P2O5), 수용성 산화칼륨(K2O)의 중량백분율로 표시한다. 비료용어로는 산화칼륨을 칼리라고 한다. 이 용어는 1880년대 중반 이래 사용되고 있다.
특정한 토양이나 농작물에 대해서는 그것에 적합한 비료의 성분비로 표시하는 일이 많다. 비료의 성분비는 3요소, 즉 N·P·K의 상호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다른 요소를 첨가하는 일도 있다. 복합비료란 N·P·K 3요소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비료이다.
판매비료는 거의 100년 동안 오직 건조 고체비료로서 제조·판매되었는데 1930년대 중반에 암모니아 기체가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1950년대 중반에는 액체 복합비료가 등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비료의 분석, 규격, 비율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