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교문학

다른 표기 언어 comparative literature , 比較文學

요약 국적이 다른 나라의 작품을 비교·분석하는 문학 연구.

19세기 낭만주의시대 이후 유럽 문학의 상호관련이 더욱 복잡화·긴밀화되면서 단일한 국민문학적 연구체제로는 문학의 여러 가지 현상을 전체적으로 밝힐 수 없게 되자, 문학의 상호연관을 찾기 위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국제간의 문화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이론적으로 발전하고 영역을 확장하여 지금은 서구에서 주목받는 문학연구분야로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비교문학의 연구방법은 각 나라의 작가, 작품의 상호 영향관계를 비교·분석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문학에 있어 어떤 영향들이 받아들여지거나 거부되었고 그 영향들이 얼마만큼 성공을 거두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각 분야별로 나누어 보면, ① 각 장르의 형식이 어떻게 발전·전파되었는지를 연구하는 문학형식 연구,

② 문학의 소재가 되는 인간형과 전통의 문제를 다루는 제재 연구,

③ 작가의 사상과 철학, 또는 한 시대, 한 지역의 사조 등이 어떻게 전파되고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는 사상 및 감정의 영향 연구,

④ 한 나라 국민문학에 미치는 세계적 작가의 영향관계를 비교·검토하는 작가 연구 등이 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작가 연구이다. 그 이유는 한 작가로부터 비롯되는 여러 문제들 속에 형식·제재·사상의 연구가 집중적으로 포괄될 수 있기 때문이다.

1950년 이후 단순히 국가간의 문학 영향관계뿐만 아니라 문학과 인접학문의 영향관계(예술·철학·역사·사회과학·자연과학·종교 등)에까지 관심영역을 확장했다. 문학이 단순히 자체 내의 영향뿐만 아니라 지식과 사고체계가 다른 여러 학문의 영향까지 받는 것으로 보고 단일한 비교체계로부터 사고체계의 전반적 영향관계에까지 연구분야를 넓힌 것이다. 특히 문학과 기타 예술과의 관계는 1970, 1980년대 비교문학 연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한국에서는 1950년대 문학연구가들에 의해 비교문학이론이 받아들여지고, 1959년 한국비교문학회가 결성된 이후 상당한 연구성과를 이루어냈다. 연구분야는 주로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고전문학 분야에서는 동양문화권 내에서 중국·인도 문학과의 영향관계를 다루고 있고,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세계문학과의 교류라는 측면에서 근대적 유럽 문학, 영미문학, 일본문학과의 영향관계를 다루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교문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