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천시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로 농업이 쇠퇴하고 공업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2013년 기준 경지면적은 6.76㎢로 총 농경지는 시 면적의 7.9%를 차지하고 있으나 농가수가 750가구밖에 되지 않아 호당 경지면적이 0.90㏊에 달한다. 경지 중 논이 3.16㎢, 밭이 3.60㎢로 밭이 다소 우세하다.

북부의 논지역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유지될 전망이나 중동·상동의 논지역은 신시가지 개발로 인해 대폭 감소되었다. 평야지대는 토지가 비옥하고 수리시설이 잘 되어 있어 주곡작물 외에 근교농업도 활발하다. 주요작물로는 복숭아·포도 등의 과수를 비롯하여 채소·화훼 재배를 들 수 있는데, 부천시 외곽인 역곡동·범박동·여월동·작동·원종동·소사동 일대가 주산지이다.

1960년대만 하더라도 원미동·춘의동·도당동·범박동에 있던 식음료가공업·벽돌제조업·정미업이 공업의 전부였으나 1960년대말 경인고속도로의 개통과 시 승격(1973) 이후 공장이 늘기 시작하여 1976년에 336개소, 1980년대 중반 이후 3,000여 개소에 육박하기도 했다. 2013년 기준 5만 7,899개 업체에 고용인구는 27만 470명에 달하고 있다. 이렇게 성장하게 된 요인은 시장과 수출항구가 가깝고 노동력을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도매및소매업(1만 2,980개)·제조업(1만 120개)·숙박음식업(9,372개) 순으로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종업원수 1,000명 이상의 대기업체로는 경원세기(냉동기)·금강제화·대한항공·반도기계·비제바노사업부·유성기업·삼성반도체·신한일전기(펌프)·아남산업(반도체)·한국화장품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밖에도 부천시는 건설사업이 활발하여 각종 건설업체가 많다. 대부분의 공장은 부천시 내에 위치한 경인고속도로의 내리 인터체인지 남쪽 내동·삼정동·도당동에 집중하여 있으며, 일부 춘의동·소사동·송내동에도 다수 분포한다. 앞으로 중동 신시가지에 아파트형 공장을 분양하여 기존의 공업구조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인구증가로 인해 일용품 위주의 재래시장·상가와 더불어 전문상가, 고급품 취급 백화점도 생겨나고 있다. 상권은 부천시와 시흥시이며, 부천역을 중심으로 하는 심곡동·소사동·원미동에 각종 행정기관과 대규모 상가, 시장이 밀집하여 중심업무지구를 이루고 있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는 공구업체가 밀집한 부천공구상가를 들 수 있는데, 이곳은 지역 내 2,000여 개소의 공장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부천시의 지역경제는 고도화되어 있어 재정자립도가 95% 에 달하고 있다.

교통로를 보면 동서방향의 통과교통로(철도, 전철, 고속도로, 46번·6번 국도)가 시내를 관통하고 있고, 시흥-고양을 잇는 국도가 남북으로 지난다. 이를 이용하여 서울과 인천 방면으로 30분 내에 갈 수 있으며,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으로 가는 시외버스 또한 빈번하게 운행된다. 부천시의 입장에서 남북으로 형성된 시가지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시내도로가 더 중요한데, 고속도로와 철도로 인해 도로가 지그재그 형태로 발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간선도로를 신설·확충하려는 사업이 진행중이며, 아울러 서울특별시 강서구·구로구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를 건설하여 교통난을 해소할 계획이다.

부천시

부천시 도로의 전경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부천시의 등록차량은 2013년 기준 27만 4,537대로 많은 편이며, 부천시를 통과하는 교통량 또한 시내교통을 능가해 서울-인천을 잇는 국도를 남쪽 산록으로 변경할 계획이다. 한편 1992년 7월에 완공된 서울-부평간 고속도로의 8차선화와 더불어 공사가 진행중인 전철 복복선화가 이루어져 중동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교통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교통불편이 다소 완화되었다. 부천시역 내 전철역인 역곡·부천·중동·송내에서의 1일 전철 이용객은 승·하차 합계 24만 1,000명에 달하고 있다.

부천시는 인구증가에 맞추어 사회기반시설을 조성했기 때문에 항상 기반시설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13년 기준 상수도 100%, 하수도 99.9%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고, 중동 신시가지 개발과 더불어 굴포천 하수 종말처리장은 공사를 끝냈고, 쓰레기 소각장, 쓰레기 중계처리장도 완공하였다. 또한 쓰레기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열을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천지사로 보내 인근 아파트 단지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부천시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