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콜리지와 워즈워스

다른 표기 언어

영국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와 윌리엄 워즈워스는 버크 이후 보수주의 정서의 형상화에 기여한 비중있는 인물들로 손꼽히고 있지만 애초에는 1789년의 대혁명을 열렬히 찬미했던 이상적 자유주의자들이었다.

"새벽이 밝아온다는 것, 다시 새로워진다는 것은 우리에게 더없는 기쁨이어라!" 이것은 유럽의 모든 지성을 대신하여 계관시인 워즈워스가 쏟아놓은 환희의 언어들이지만 해너머의 사태진전은 프랑스의 여명을 향한 유럽의 부푼 기대감을 여지없이 부수어놓고 말았으며, 자유주의와 합리주의의 미몽으로부터 깨어난 두 사람은 군주제의 전통과 영국 국교회라고 하는 자신들의 터전으로 발길을 되돌리게 된다.

1788년 워즈워스와 콜리지는 시집 〈서정민요집 Lyrical Ballads〉을 공동출간, 18세기의 추상적 합리주의에 대한 인간 감성의 반란을 공표했으며, 이로써 새로운 차원의 사상경향을 도출해내는 공적을 남겼다.

〈평신도의 설교 Lay Sermons〉(1816~17)·〈일대기 Biographia Literaria〉(1817)·〈철학강의 Philosophical Lectures〉(1818~19)·〈인격의 형성, 분별력·도덕성·종교 Aids to Reflection in the Formation of a Manly Character, on the Several Grounds of Prudence, Morality, and Religion〉(1825), 그리고 몇 편의 〈서간집 Letters〉·〈한담선 閑談選 Specimens of Table Talk〉을 통하여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보수주의 이념과 정서의 대변자로서 오랜 기간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리고, 대학에서의 그의 강연 활동은 훗날 영국 정계의 지도자로 떠오르게 되는 젊은 인재들의 가슴속에 잊혀지지 않는 영감을 불러일으켰다.

콜리지에 따르면 사회공동체는 독자적인 계급구조를 통하여 자신의 여러 기능들을 분배한다.

각 계급은 나름대로의 가치로운 역할을 행사하게 되지만 이것이 곧 사회 내의 모든 계급에 투표권(참정권)이나 통치권을 분리, 위임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참정권은 엄격한 의회규칙 속에서 기능하는 덕성과 교양을 갖춘 귀족계급이 담당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모든 계층은 헌법과 국가체계의 유기적 통일성 안에서 상호협력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콜리지의 이념은 뒤에 보수당 총리에 오르게 되는 벤저민 디즈레일리를 통하여 발현됨으로써 실질 정치의 장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훨씬 뒤에는 윈스턴 처칠 경이 디즈레일리의 사도로서 전통 보수주의자의 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냈다(→ 디즈레일리, 처칠).

새뮤얼 콜리지는 기업가를 보수주의와는 거리가 먼 사회공동체의 반도 정도로 간주했다.

기업인들은 '이윤'이라고 하는 새로운 종교를 파급시킴으로써 그리스도교 군주국의 기반을 갉아먹는다. 소매상인들을 가장 비애국적이고 비보수적인 계층으로 규정했던 콜리지는 '장사꾼'을 영국 최고의 정치세력으로 등장시키게 될 휘그 당의 선거법 개정안(1832)을 적극 반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문화/현상

사회문화/현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콜리지와 워즈워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