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대장의 아랫부분에서 노폐물의 통과가 늦어져서 수분이 적은 딱딱해진 대변이 항문으로 배출되는 것.
원인은 불규칙한 식사, 대장경련, 장티푸스와 같은 감염성 질환, 중추신경계 질환, 모르핀이나 코데인과 같은 마약복용, 식사량의 부족 및 완하제의 지나친 사용 등이다. 또한 장(腸)이 폐쇄되었거나 복부근육이 약해졌을 때도 생길 수 있다. 여행 등으로 일상생활의 변화가 생기거나 활동을 거의 하지 않거나, 식사나 수면의 습관에 변화가 왔을 때도 일시적인 변비가 생긴다.
변비의 증상은 만복감, 직장압박감, 잦은 배설욕구 등이다. 만성변비는 상복부 팽만감, 트림, 멀미, 역류, 복부 불쾌감이 생기며 만약 치료하지 않으면 두통, 현훈, 식욕감퇴, 구강 내 악취 등 전신증상이 생긴다. 변비의 치료는 평상시의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회복·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단에 중점을 두어서 금기가 아니라면 신선한 과일과 야채, 정제되지 않은 곡물류 등 수분함유량과 섬유질이 많은 식품을 포함시키고 수분섭취량을 늘린다.
약물 복용보다는 신체활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근육긴장력이 약한 사람은 복근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