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벨파스트

다른 표기 언어 Belfast
요약 테이블
위치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만 연안
인구 345,418명 (2023년 추계)
면적 115㎢
대륙 유럽
국가 영국

요약 영국의 행정구역. 래건 강이 벨파스트 호로 흘러들어가는 곳에 있다. 1888년 왕의 칙허를 받아 특권도시가 되었고, 1920년 북아일랜드 지방정부의 수도가 되었다. 이곳의 근대 역사는 1611년에 아서 치체스터 남작이 새로운 성채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1613년에 시가 되었으며 1641년 아일랜드 폭동이 일어났다. 1730년대 후반에 성채가 파괴되었지만, 이곳은 경제적으로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17세기 후반에는 영국의 윌리엄 3세가 후원한 프랑스의 위그노들이 이곳에 피신하여 리넨 제조업을 발달시켰다. 이 도시는 항구로서도 계속 발전했으나, 1941년 공습으로 크게 파괴되었다. 벨파스트는 북아일랜드의 교육·상업·오락·서비스 중심지이다.

벨파스트(Belfast)

ⓒ gavsgav/Pixabay | Public Domain

래건 강이 벨파스트 호로 흘러들어가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1888년 왕의 칙허를 받아 특권도시가 되었으며 1920년에 아일랜드 정부법이 통과됨에 따라 북아일랜드 지방정부의 수도가 되었다.

벨파스트 구(이전의 특권도시)의 면적은 1973년 지방행정조직이 개편될 때 확대되었다. 석기·청동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철기시대 성채들의 유적이 도심 부근의 언덕에 남아 있다. 1177년경에 장 드 쿠르시(얼스터를 정복한 노르만인)가 이 언덕에 세운 한 성채는 17세기 초반까지 보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도시의 이름은 게일어로 '강의 도하지점'을 뜻하는 'Béal Feirste'에서 유래했다.

이곳의 근대 역사는 1611년에 아서 치체스터 남작이 새로운 성채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1613년에 시가 되었으며 1641년 아일랜드 폭동이 일어났다. 1685년에는 2,000여 명의 주민 중 대부분이 벽돌·로프·그물·범포 제조업에 종사했다. 1730년대 후반에 성채가 파괴되었지만, 이곳은 주요교량도시인 리즈번과 항구인 캐릭퍼거스를 대신하면서 경제적으로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17세기 후반에는 영국의 윌리엄 3세가 후원한 프랑스의 위그노들이 이곳에 피신하여 리넨 제조업을 발달시킴으로써 얼스터 리넨 산업의 시장 중심지가 되었다. 이곳에 면직물 산업을 정착시키려는 시도는 곧 실패했지만, 뒤이은 리넨의 방적·직조 공정의 기계화는 이곳을 세계적인 리넨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17세기에 이 도시는 소규모 조선업자들의 활동으로 붐비는 항구였다. 이곳의 조선업은 월리엄 리치가 조선소(1791)와 건선거를 건설한 후에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산업혁명 이후의 주요 조선회사는 하런드앤드울프사(불운의 '타이태닉 호'를 건설)로 이 회사 소유의 조선소는 현재 면적이 120㏊에 이르고 길이가 300m나 되는 선박을 조선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1975년 이후 이 회사는 완전히 북아일랜드 상공부의 소유가 되었으며 초대형 유조선 이외에도 다리 건설에 쓰이는 강철판을 생산한다. 이 도시는 항구로서도 계속 발전해왔으나, 1941년의 공습으로 크게 파괴되었다.

1968년 얼스터에서 로마 가톨릭교도들의 권리회복 운동이 시작되었고, 1969년부터는 벨파스트에서 거리 폭동과 강화된 폭력이 행사되었다.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난동자들을 단속하기 위해 영국군이 투입된 이후에도 로마 가톨릭 및 개신교 과격주의자들의 총포·폭탄 사용은 늘어났으며 아일랜드공화국군(IRA)의 급진파들은 민간인·경관·군인들을 살해했다. 1980년대까지 폭력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벨파스트는 북아일랜드의 구매·소매·교육·상업·오락·서비스 중심지이다. 주요수출품은 선박·항공기·농산물·가축·리넨 등이다. 그밖에 담배·식품가공업이 이루어진다. 교육기관으로는 벨파스트퀸대학교(1845년에 퀸스 칼리지로 설립됨)·장로교대학(1847)·로열벨파스트아카데미(1810) 등이 있다.

북아일랜드의 행정관청 소재지인 스토몬트가 가까이에 있다. 북동쪽으로 21㎞ 떨어진 앨더그로브의 공항에는 외국의 주요도시들로 운항하는 항공노선이 있다. 이곳은 증기선으로 잉글랜드의 헤이섬·리버풀·맨체스터,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아드로슨, 웨일스의 홀리헤드와 연결된다. 1971~81년에는 종교적인 폭동과 외곽지역의 계획된 경제발전으로 이곳의 인구가 심각하게 감소했다.

지도
벨파스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벨파스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