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의회 형태의 정부를 갖춘 입헌군주국이다. 1831년에 채택된 헌법은 세습 국왕, 그리고 212명의 하원과 183명의 상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에 입법권을 부여하고 있다. 하원의원 전원과 상원의원 반수는 직접 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반수의 상원의원은 주의회나 다른 상원의원들에 의해 선출된다. 양원 의원들 모두 임기는 4년이다. 집행권은 명목상 국왕에게 부여되어 있으나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 의해 행사된다.
주요정당은 기독교사회당·사회당·자유당이다. 사회당과 자유당은 왈론파와 플라망파로 나뉘어져 있다. 대법원이 독립적인 사법부를 이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일원으로 NATO 무장병력의 최대 구성원이다. 거의 전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제도로 의료보험, 연금, 가족수당, 산재보상금, 실업수당, 노령자 및 영세자 보조금 등을 제공하여 국민의 보건향상 및 수명연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또한 거의 전국민이 글을 읽고 쓸 수 있다.
교육체제는 비종교적인 국립학교와 특정 종파의(보통 로마 가톨릭계) 사립학교로 이원화되어 있다. 학교에 대한 국가의 보조금 지급 수준이 오래전부터 논쟁의 소지가 되어왔으나, 1958년 정부가 국립·사립 학교에 대해 대체로 비슷한 수준의 재정지원을 하도록 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6세~18세의 교육은 의무교육이다. 그밖에 벨기에에는 8개의 주요대학교 외에도 여러 고등교육기관들이 있다. 헌법에는 언론·출판의 자유에 대한 강력한 공약이 포함되어 있으며, "어떤 형태의 검열도 채택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다.
출판매체는 대체로 가문이 소유하고 있으며, 라디오·텔레비전 방송은 플라망어와 프랑스어 방송지국들로 조직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벨기에의 정치와 사회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