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벨기에의 경제

다른 표기 언어

대체로 서비스·경공업·중공업·국제무역에 기반을 둔 시장경제체제의 선진국이다. 원료를 수입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것이 경제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광산업과 중공업이 쇠퇴하고 있는 남부보다 북부의 경제성장률이 높다.

소시에테제네랄드벨지크(1822)는 현재 은행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로 석탄·강철·비철금속·전기 생산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으며, 그외의 5개 회사에서 벨기에 공업 생산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국민총생산(GNP)이 인구증가율보다 빨리 증가해왔으며, 1인당 국민소득은 유럽 경제공동체(EEC) 국가들의 평균치보다 높다. 농업 부문은 GNP의 3% 미만이며, 거의 같은 비율의 노동력이 이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작물로는 사탕무·감자·밀·보리·사과·토마토·귀리·옥수수·치코리·아마 등이 있다. 밀·사탕무·감자·우유의 평균생산량은 다른 EEC 국가들의 경우와 비교해볼 때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세계적으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축의 번식·사육(특히 돼지와 소)과 우유 생산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어, 농업 생산량의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농지는 작은 크기로 완벽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고도로 기계화되어 있는 편이다. 정부에서는 농지들의 통합 정리를 후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지는 정부의 보호를 받는 소작농들에 의해 경작되는데, EEC와 벨기에 정부에서는 농민들을 위한 훈련·은퇴 프로그램에 정부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제조업은 GNP의 1/4을 차지하며, 약 1/5의 노동력이 이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금속세공, 특히 강철 생산이 주요분야로서 주로 수출용으로 생산된다. 수입 철광석에 의존하는 강철업은 1980년대초에 재정비되어 정부의 보조금을 받아오고 있다. 다른 제조 분야로는 식품·음료·담배·화학제품·종이·인쇄·출판·섬유·건축자재 생산 등이 있다. 대량의 석유가 수입된다. 전기는 대부분 원자력 발전으로 얻어지며, 국산 또는 수입 화석연료로 생산되는 발전량은 전체의 2/5가 못 된다.

기독교노동조합연합(CSC)이 주요 노동자단체로서 기독교사회당과 제휴를 맺고 있다. CSC는 특히 플라망어를 쓰는 지역에서 세력이 강하며 대부분의 회원이 로마 가톨릭교도이다. 실직수당, 새로운 일자리 마련, 사회복지사업 등을 위한 경비가 증가함으로써 정부가 외채를 얻어야만 하자, 1980년대에 주요산업구조의 개편과 공공분야 지출면에서의 긴축조처가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촘촘한 철도망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내륙 수로망이 있다. 스헬데 강을 끼고 있는 안트웨르펜은 벨기에의 주요항구이다. 거의 모든 도로가 포장되어 있으며, 주요국제공항이 브뤼셀에 있다. 벨기에는 국제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대외무역의 약 70%가 EEC 회원 국가들과 이루어지는데, 주요 무역상대국은 독일·프랑스·네덜란드·영국이다. 베넬룩스 경제동맹은 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가 맺은 관세경제동맹이다. 유럽 통화제도에 속해 있어 그 환율평가를 따르고 있다.

안트웨르펜(Antwerpen)

벨기에의 주요항구

ⓒ gnoparu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벨기에의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