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이징의 자연환경

다른 표기 언어

시의 위치

베이징의 자연환경

베이징 시 지도

ⓒ Joowwww/wikipedia | Public Domain

베이징의 위치는 3각꼴로 생긴 화베이 평원[華北平原]의 꼭대기에 해당하며, 해발 30~40m에 놓여 있다.

북쪽은 내몽골 고원의 가장자리로 이어지고, 북동쪽에는 옌산 산맥[燕山山脈]의 산줄기들이 뻗어 있다. 이 산맥의 일부가 저지대인 베이징을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는데, 지리학자들은 오목한 활 모양을 이루는 동쪽부분을 베이징 만(灣)이라고 부른다. 융딩 강[永定河]과 차오바이 강[潮白河] 사이에 끼어 있는 베이징 만의 남쪽과 동쪽은 화베이 평원으로 이어진다.

융딩강[永定河]

융딩강의 모습

ⓒ Fanghong/wikipedia | CC BY-SA 3.0

베이징은 화베이 평원과 북부의 산맥·평원·고원 사이를 잇는 주요통로상에 있어 천연 출구로 중요한 구실을 해왔다.

베이징이 3각형의 대평원 꼭대기에 있기 때문에 화베이 평원을 통과한 도로들은 자연히 이곳으로 모여든다. 중국 역사가 시작된 이래 옌산 산맥은 남쪽의 화베이 평원과 북쪽의 내몽골 고원 및 둥베이[東北:옛 이름은 만주] 남부의 랴오허[遼河] 평원 사이에서 강력한 방벽 구실을 한다.

또한 베이징은 여러 세기 동안 드넓은 중앙 아시아 내지로 통하는 무역로의 중요한 종점도시였다. 15세기초 이래 베이징 시와 그 주변지역은 거대한 대도시권 지역으로 조직되었다. 베이징의 이러한 특별한 행정지위는 청대 및 중국에 이르기까지 유지되었다. 1959년에 조직된 베이징 대도시권은 오늘날 10개의 구와 변두리에 있는 8개의 부속 현으로 이루어진다.

기후 및 식물

베이징은 보하이 만[渤海灣]에서 161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지만, 바다가 베이징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전반적인 대기순환은 1년 내내 주로 북서쪽의 영향을 받으며, 뚜렷한 대륙성계절풍기후를 보인다. 베이징의 기후는 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즉 저지대에 놓여 있고 산맥에 의해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같은 위도상에 있는 중국의 다른 지역보다 겨울에 추운 편이다. 풍향 또한 지형의 영향을 받는데, 주로 낮에는 남풍, 밤에는 북풍이나 북서풍이 분다.

연평균기온은 12℃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월평균기온이 -4℃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월평균기온이 26℃이다.

연평균 132일 정도가 빙점 이하의 기온으로 내려간다(10~3월). 연강우량은 635㎜로, 1년 중 6~8월에 대부분의 비가 내린다. 통상적으로 7월은 1년 중 가장 습기가 많은 달로, 월평균강우량이 228㎜에 달한다. 강우량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변화가 심하다는 것인데, 1959년(베이징이 대단히 습했던 해)의 총강수량이 약 1,400㎜에 달한 반면, 1891년(대단히 건조했던 해)에는 178㎜를 기록했다. 비오는 날의 평균일수는 80일 정도이고, 평균습도는 57%이다.

베이징의 산간지대는 온대 낙엽성 삼림대에 속하는 반면에 평원지역은 나무가 우거진 초원지대에 속한다.

그러나 여러 세기에 걸쳐 진행된 삼림벌채로 서부와 북동부만이 혼합림으로 덮여 있다. 이 혼합립은 주로 소나무류·참나무류·만주자작나무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으로 분포된 다른 종류의 숲은 좀더 높은 곳에서 볼 수 있다. 이 도시의 서쪽에 있는 많은 산들의 낮은 경사면에는 인간들의 활동으로 인해 숲이 없어지고 약간의 관목과 관목숲만이 드문드문 남아 있을 뿐이다. 평원지역의 대부분은 농지로 개간되었거나 다양한 주거지가 들어서 자연 식물을 보기 힘들다.

도시구획

베이징시 행정구역

베이징시 행정구역의 분포

ⓒ 장길산/wikipedia | Public Domain

베이징의 전통적인 중심부는 2개의 성곽도시(지금은 성벽이 남아 있지 않음), 즉 내성(內城)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에 있는 내성은 '타타르 시'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위치는 대략 원대의 수도 대도가 있었던 자리이다. '중국 시'로도 알려진 외성은 명대 가정연간(嘉靖年間:1521~66/67)에 증축되었다. 내성은 길이 24km에 달하는 성곽이 4각으로 에워싸고 있었다. 내성에 잇닿아 있는 외성은 직4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내성의 남쪽 성벽 6.4km를 포함해서 23km에 달하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내성 안에는 옛 황성이 있는데, 역시 직4각형이며 10km의 붉은 벽돌로 둘러싸여 있다. 이 황성 안에는 3.6km의 담으로 둘러싸여 있고 해자(垓字)로 수비된 쯔진청[紫禁城]이 있다. 또 이 쯔진청 안에는 오늘날 박물관으로 개조된 옛 황궁이 있다. 도시계획면에서 베이징의 조화와 정연함을 따라올 만한 도시는 세계에서 거의 찾아 보기 힘들다(중국건축). 베이징 중심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도시가 계획되었다.

성벽, 주요 도시관문, 널찍한 가도, 종교사원들, 시장 등이 중심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 중심축은 역사적으로 지배 정권의 권위를 상징했기 때문에 많은 관공서·대중광장·도시관문 등이 이 축을 따라 세워졌다. 남북으로 뻗은 이 중심선을 따라 중러우[鐘樓], 구러우[鼓樓], 징산 공원[景山公園], 황궁 등을 포함한 쯔진청, 톈안먼[天安門] 광장, 첸먼[前門], 톈차오[天橋] 지역, 융딩먼[永定門:지금은 없어짐] 등이 줄지어 있다.

또한 중심선을 축으로 동쪽과 서쪽이 체계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명대에 세워진 16개의 도시관문 가운데 7개는 중심선 동쪽편에, 2개는 중심선 위에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문은 거의 없지만, 그 이름들은 거리이름으로 남아 있다(도시계획).

1949년 이후 전개된 도시 외관상의 가장 큰 변화는 옛 성벽의 바깥쪽으로 가도를 연장한 것이다.

구도시의 서쪽편으로 푸싱먼[復興門]이 서 있던 자리로부터 약 1.6km 정도 뻗어 있는 길은 시창안제[西長安街]의 연장인데, 이 길에는 주로 공공관청들이 세워져 있다. 북서쪽의 이허위안 쪽으로는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대학교들과 연구기관들이 들어서 있다. 도시 북쪽의 외곽지역은 북서쪽의 교육 중심지에 인접한 주택지로 발전해왔다. 동쪽 교외지역은 공업지역으로, 화학제품·자동차·농기계 제조가 우세하다. 남쪽의 채소밭은 점차 공장들로 대체되고 있다.

주택

급속한 인구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사무직 및 공장 근로자들을 위한 주택 건설계획이 세워졌다.

제1차 5개년계획 기간(1953~57)에 주택사업은 베이징 시의 서쪽 외곽지역에 집중되었는데, 푸싱먼 바깥쪽으로 아파트 건물들이 세워졌다. 1958년부터 북쪽 외곽지역인 안딩먼[安定門] 자리와 더성먼[德勝門] 사이에 허핑리[和平里] 주택가를 중심으로 대단위 연립주택 건설공사가 시작되었다. 또한 북쪽 외곽지역에는 많은 단독주택 단지가 있는데, 공원·극장·오락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 신축 건물들은 구시가지와는 대조적으로 가스와 수도물이 공급된다.

시 동쪽의 젠궈먼[建國門] 자리 바깥쪽에는 부근의 관공서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살고 있는 아파트들이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많은 대사관과 서양식으로 지어진 외교관 주택들이 있다. 베이징 시의 주택 재건계획에 의해 옛 성곽 안쪽의 오래된 구역 안에 있는 낡은 주택들이 철거되고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섰다. 그러나 이 계획은 인구의 성장을 따라갈 수 없었다. 그결과 한 집에 3~4가구가 살 수 있도록 많은 전통가옥을 수리해서 몇 칸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한 집을 나누어 쓰는 가정들은 정원과 대문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대도시의 통근 교통량을 줄이기 위해 시 동쪽과 남쪽 외곽지역에 있는 많은 공장들이 근로자 아파트를 지었다. 독립 단지를 구성하는 이 근로자 주택은 그들의 일터로 쉽게 갈 수 있으면서도 소음공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 중심도시로부터 인구와 산업을 분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베이징 근교의 현들에 위성도시가 세워졌다. 잉여 노동력을 흡수하고 농부들의 수입을 늘려주기 위해 외곽지역에 산업발전이 고무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베이징 (Beijing)


[Daum백과] 베이징의 자연환경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