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링

다른 표기 언어 Vitus (Jonassen) Bering 동의어 비투스 요나센 베링, 이반 이바노비치 베링, Ivan Ivanovich Bering
요약 테이블
출생 1681, 덴마크 호르센스
사망 1741. 12. 19, 캄차카 반도 근처 베링 섬
국적 덴마크/러시아

요약 러시아의 항해가.

베링 해협알래스카 탐험을 통해 러시아의 북아메리카 대륙 진출 거점을 마련했다. 동인도제도를 항해한 뒤 해군 중위계급으로 표트르 대제의 함대에 참가했다. 1724년 표트르 대제는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대륙이 육지로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탐험대의 대장으로 그를 임명했는데, 당시 러시아는 북아메리카 지역에 대한 식민지 획득과 시베리아를 거치지 않고 중국에 이르는 북동항로 개척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1648년 러시아인 세묜 데주뇨프가 베링 해협을 항해한 바 있으나 1736년까지는 그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음).

1728년 7월 13일 베링은 캄차카 반도에서 항해를 시작, 8월에 베링 해협을 거쳐 북극해에 진입했다. 탐사기간 내내 계속된 악천후로 북아메리카 해안을 눈으로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시베리아와 아메리카 대륙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고 결론지었다. 안나 여제의 통치 때 그는 제2차 탐험을 시도했다. 처음에 그는 소규모 탐험을 계획했으나 이것은 결국 러시아 북방대탐험(1733~43)이라는 대규모 탐사로 확대되었고 이를 통해 시베리아 북극해안의 상당부분을 지도에 올렸다.

1741년 6월 4일 베링은 상트표트르호를 타고 캄차카에서 출항해 상트파벨호를 지휘하는 알렉세이 치리코프와 합류했으나 이들 두 선박은 나중에 폭풍우로 서로 떨어졌다. 치리코프 선장은 항해를 계속해 알류샨 열도의 몇몇 섬들을 발견했고 베링은 8월 20일 알래스카 만으로 진입했다. 그는 선박을 안전하게 귀환시키는 데 집착한 나머지 알래스카 남서해안, 알래스카 반도, 알류샨 열도 등을 탐사하는 데 그쳤다. 그는 괴혈병으로 고생해 효율적인 탐사 지휘를 할 수 없었으며 배마저 11월초 캄차카 반도 근처 베링 섬 앞바다에서 난파했다. 베링은 이때 사망했으며 몇몇 생존자들은 시베리아에 도착했고, 그후 알류샨 열도와 알래스카에서 모피 무역이 유망할 것이라는 정보를 제공했다.

비투스 베링(Vitus Bering) 의 탐험

베링의 탐험을 표현한 19세기 그림. 1741년

ⓒ wikipedia | Public Domain

베링의 탐사에 관한 저서로 F. A. 골더의 〈베링의 항해 Bering's Voyages〉(1922~1925)와 로버트 머피가 집필한 〈The Haunted Journey〉(1961)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외국인물

외국인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베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