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Pyrus

요약 장미과 배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 또는 열매. 원산지에 따라 서양종과 동양종으로 나뉜다. 서양배는 미국·유럽·칠레·호주 등지에서 재배하고 동양종은 중국·한국·일본에서 주로 재배한다. 서양배는 씹을 때 아삭한 식감을 더해주는 부드러운 알갱이인 석세포가 적고 향기와 단맛이 강한 편이다. 국내에서 주로 먹는 배는 신고품종이다. 한국 농가 재배의 80% 정도를 차지의 신고배는 식감이 좋고 과즙이 풍부하나 약간의 신맛이 있다. 생과일로도 애용될 뿐만 아니라 저장성이 좋고 여러가지 가공품을 만드는데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배꽃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기관지 질환과 소화에 효능이 좋은 과일. 배나무는 삼국시대부터 절이나 정원에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수가 잘 되는 양지바르고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배나무가 자랄 때 물이 부족하면 열매의 겉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는 유부과(柚膚果)현상이나 과즙이 적고 딱딱해지는 돌배현상이 나타난다.

상품화 되어 잘 포장된 배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품종

옛날부터 한국에서 자라던 배나무 종류로는 산돌배나무(P. ussuriensis)·참배(P. ussuriensis var. mcarostipes)·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돌배나무(P. pyrifolia)가 있으나 이들의 열매는 요즈음 먹는 배처럼 크지 않다.

이밖에 열매를 먹기 위해 옛날부터 심어왔던 종류는 추안네(P. acidula)·황실네(P. fauriei var. major)·청실네(P. macropuncta)·고실네(P. maximowicziana)·백실네(P. rufa) 등으로서 널리 알려진 금화배·함흥배·안변배·봉산배·봉화배를 만들어냈으나 현재는 일본배에 밀려 거의 자취를 찾아보기 힘들다. 요즈음 널리 심고 있는 배나무로는 일본의 중부 이남, 한국의 남부 및 중국 양쯔 강 근처에서 자라던 돌배나무를 개량한 일본배, 만주와 몽골 및 한국 북부지방에서 자라던 산돌배를 개량한 중국배의 중화배(P. ussuriensis var. sinensis)·중국소배(P. ussuriensis var. culta), 그리고 유럽 중부와 동남부에서 자라던 서양배(P. communis)가 있다. 이중 일본배를 가장 널리 심으며 특히 중부 이남에서는 만삼길을, 중부지방이나 북부지방에서는 장십랑을 많이 심는다.

활용

강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분류되는 배에는 루테올린과 인버타제(invertase), 옥시다제(oxydase) 같은 소화효소, 숙취해소에 좋은 아스파라긴산 등이 들어있다. 또한 고혈압을 유발하는 몸속의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칼륨이 들어있어 고혈압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과일이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절이나 정원에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수가 잘 되는 양지바르고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배

과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