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방언지도의 작성을 위한 자료수집은 현장조사와 통신조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현장조사는 훈련된 연구자가 방언형태들을 직접(또는 녹음에 의해서) 기술할 수 있고 다양한 설문들을 포괄하는 앙케이트를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제한된 지역만을 대상으로 할 수밖에 없는 난점이 있다. 반면에 통신조사는 적은 비용으로 광범위한 영역을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설문의 수량과 정확성에서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언어지리학 분야에서 첫번째의 대규모 사업은 40개의 표본문장들을 독일 제국 내의 4,000여 지역에 보내 그 번역을 하게 함으로써 방언의 변이양상을 조사한 게오르크 벵커에 의해서이다. 프랑스 방언지도의 제작자인 J. 질리에롱과 E. 에드몽은 전혀 다른 방식을 택했다. 그들은 질리에롱이 작성한 대략 2,000여 개의 단어와 문구를 포함한 앙케이트를 프랑스어 사용지역 내의 639개 지역에 보내어 그결과를 방언지도 작성에 원용했는데, 이것은 이후 모든 지역에서의 방언연구의 기본 모델이 되었다.
오늘날 거의 모든 유럽 언어의 방언들이 방언지리학의 연구대상이 되어 수집·분류되고 그 지도가 제작되었다. 예를 들면 프랑스 방언학자들은 〈프랑스 방언지도 Atlas linguistique de la France〉에 수록된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별 지도를 작성중에 있으며, 영국에서는 해럴드 오튼과 유진 디스의 감독하에 1946년에 시작된 연구가 〈영국방언개관 Survey of English Dialects〉(1962)으로 그 결실을 맺었다.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개별적인 슬라브어 지도들과 동시에 1,000여 지역을 포괄하는 대(大)슬라브어 지도 제작이 진행중이다. 유럽 지역 이외에서의 방언지리학 작업은 미국과 일본에서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1905~06년에 일본의 방언학자협회는 2권으로 된 최초의 방언지도를 출판했는데, 1권은 음운론을, 2권은 형태론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이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특수지역의 방언기술에 집중했는데, 중국어 사용자 수의 거대함, 방언 사이의 엄청난 차이, 소리가 아닌 개념을 나타내는 문자의 특성 때문에 독특한 연구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그 국토의 광대함으로 인해 방언지도 제작이 해당지역별로 행해졌다. 1931~33년 언어학자 한스 쿠라트의 지도하에 현장조사자들이 213군데의 뉴잉글랜드 지역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가 〈뉴잉글랜드 방언지도 1939~1943 The Linguistic Atlas of New England in 1939~1943〉이다.
이탈리아와 남부 스위스 방언지도를 작성한 카를 야베르크와 야코프 유트의 방법을 토대로 한 이 작업은 상대적으로 교육정도가 낮은 사람들뿐 아니라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도 대상으로 해 체계적인 탐색을 시도했다. 그결과 언어의 사회적 층위라는 차원이 방언지리학에 도입되었으며, 지역방언의 기준에 대한 가치있는 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