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미크로네시아

다른 표기 언어 Micronesia 동의어 미크로네시아 연방
요약 테이블
인구 547,017명 (2024년 추계)
수도 팔리키르
면적 700㎢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마이크로네시아 연방국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기후 열대우림기후
민족 구성 미크로네시아인, 폴리네시아인
언어 미크로네시아어, 영어
정부/의회형태 연방공화제 / 단원제
종교 로마가톨릭(50%), 개신교(47%)
화폐 US달러 (USD) 환율계산기
대륙 서남아시아태평양
국가번호 691
GDP USD 335,000,000
전압 110V/ 60Hz,220V / 50Hz
도메인 .fm

요약 태평양 서부에 있는 공화국. 600개 이상의 크고 작은 섬들로 구성된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크게 동쪽에 있는 해저에서 융기한 화산맥 위에 산호가 쌓여 이루어진 섬들과 해수면 위로 융기한 지각의 습곡작용으로 형성된 서쪽에 있는 대륙섬들로 분류된다.

미크로네시아(Micronesia) 국기

ⓒ Atlaspix/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도
미크로네시아

한국과의 관계

외교

한국은 1991년 미크로네시아와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1980년 설립된 주피지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미크로네시아의 영사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2023년 기준 한국의 미크로네시아 수출액은 533만 달러, 수입액은 5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목은 광물성 연료, 부탄, 곡물 및 전분 등이며 수입품목은 철강, 알루미늄, 전기기기 등이다.

문화 교류·교민 현황

2023년 기준 미크로네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10명이다.

자연환경

600개 이상의 크고 작은 섬들로 구성된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크게 2부류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동쪽에 있는(트루크, 포나페, 코스라이에 주) 섬들로서 해저에서 융기한 화산맥 위에 산호가 쌓여 이루어진 섬들이며, 다른 하나는 해수면 위로 융기한 지각의 습곡작용으로 형성된 서쪽에 있는(야프 주) 대륙섬들이다.

야프 섬과 트루크 제도에 속하는 6개 섬의 높이는 150m 이상이며, 코스라이에·포나페 섬은 600m 이상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다.

연방을 구성하고 있는 그밖의 섬들은 대부분 산호초 위로 모래가 쌓여 형성된 저지대 환초들로 전체적으로 초호를 둘러싸고 있으며 따로 떨어져 있는 몇 개의 산호섬들도 있다. 포나페는 면적 334㎢로 미크로네시아 연방 중에서 가장 큰 섬이다. 섬과 환초들은 동서로 약 2,800km, 남북으로 약 965km에 걸쳐 있다. 미크로네시아 연방 주위의 섬 중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것으로는 동쪽으로 마셜 제도, 북서쪽으로 괌, 서쪽으로 팔라우, 남쪽으로 솔로몬 제도이다.

열대성 기후로 연평균기온이 27℃이며 강우량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적어지는데, 포나페의 5,000㎜에서부터 야프의 약 3,000㎜까지 분포되어 있다. 매년 이곳에서 많은 태풍이 시작된다. 코스라이에·포나페의 고산 섬과 트루크 제도에 속한 고산 섬들의 해안에는 습지 홍수림이 분포해 있고 중부 산악지대의 우림으로 올라가면 목초·삼림·관목지가 펼쳐진다. 환상산호초 섬들과 야프에는 코코넛·판타누스 나무·종려나무·빵나무 등이 많이 자란다.

팔라우 중앙의 돌 섬(Palau's scenic Rock Islands)

ⓒ Ethan Daniel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민

원주민들은 체형·문화·언어가 상당히 다른 미크로네시아인들이다. 포나페 남서쪽에 있는 카핑가마랑기와 누코로 환초의 주민들은 폴리네시아 문화권에 속하며, 주민 중 약 절반 가량이 포나페·모엔(트루크 제도)·야프에 살고 있다. 포나페 한 곳에만 전체 인구의 약 30%가 살며, 트루크 제도(모엔 포함)에 약 50%, 코스라이에에도 비교적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주민들 대부분이 전통적인 마을을 이루고 살며 종교적으로는 그리스도교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언어로는 야프어·트루크어·포나페어(폰페이어)·울리시아울레아이아어·코스라이에어 등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모두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며 영어도 꽤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연간인구증가율은 2000년대 이후 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추계인구는 54만 7,017명이다. 전체 인구의 33%가 15세 이하의 유소년층이다(2017) .

경제

자급농업과 어업이 중요한 경제활동이다. 주요작물로는 빵나무·타로토란·코코넛·바나나가 있으며, 고산 섬에서는 마·카사바·고구마도 재배한다. 주요수입원은 미국 정부의 원조금인데 이는 국민총생산(GNP)의 약 70%를 차지하며, 주로 일본을 상대로 하는 코프라 수출과 어로권 판매수입이 추가 수입원이다. 포나페에서는 후추를 재배하여 수출하며 약간의 관광업도 발달해 있다. 수입품으로는 쌀과 기타 식료품·공산품 등이 있다. 섬과 환초 사이의 운송은 배나 비행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요상업항은 포나페 부근의 타카티크와 코스라이에, 야프에 있는 콜로니아, 모엔에 있다. 야프·포나페·모엔에는 국제공항과 라디오 방송국이 있고, 포나페·야프에는 텔레비전 방송국이 있다.

정치와 사회

정부는 대통령과 부통령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각 주에서 4년 임기로 1명씩 선출되며 전주를 대표하는 국회의원과, 인구비례에 따라 선출되며 2년 임기의 단일지구를 대표하는 국회의원으로 구성되는 단원제 국회에서 선출된다. 4개의 주정부는 보통선거로 선출되는 주지사와 단원제 의회를 두고 있다. 야프·트루크·포나페·코스라이에에는 병원이 있으며 사람이 살고 있는 다른 섬들에는 진료소가 있다. 사람이 거주하는 모든 환초와 큰 섬에는 초등학교가 적어도 1개는 있다. 야프·울리시·모엔·웨이파트(트루크 제도에 속함)·포나페·코스라이에에는 중등학교가 있으며, 포나페에는 미크로네시아지역사회대학(1970 설립, 옛 이름은 미크로네시아 사범학교)이 있다.

마이크로네시아 지도상의 위치

ⓒ BOLDG/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약 3,500년 전 무렵에 멜라네시아 동부에서 온 사람들이 처음으로 미크로네시아 연방 섬들에 정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는 스페인의 식민지였으며 제1차 세계대전 후에는 일본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미군이 점령했다. 1947년 4개국에 포위당한 이 지역은 나중에 3개 지구로 분할되어 국제연합의 태평양 신탁통치 군도의 일부가 되어 미국의 통치를 받았다.

미크로네시아 연방 헌법에 따라 1979년에 자치연방이 되었다.

1982년 미국과 자유연합협정을 체결했으며, 이 협정은 1983년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받았고 1985년 미국에 의해 승인받았으며 그후 UN의 의결에 따라 완전한 효력을 갖게 되었다. '자유연합'의 협정조항에 따라 미국이 국내치안과 국방을 담당하며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이 협정에서는 섬들이 완전한 독립을 유지하며 국민투표를 통하여 승인받을 경우에는 언제라도 미국과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통가옥. 얍(Yap)섬에 위치

ⓒ Ethan Daniel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미크로네시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