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물꽃

다른 표기 언어 water bloom

요약 표층수(表層水)에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광합성에 알맞는 빛이 비칠 때,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작은 생물이 폭발적으로 많아지는 현상.
marin bloom이라고도 함.

물꽃(water bloom)

수역(水域)에서 부유성의 조류 또는 미소동물의 대량증식에 의해서 수표면의 색이 현저히 변하는 현상이다.

ⓒ Jesse Allen/wikipedia | Public Domain

미생물이나 이들이 분비하는 유독물질이 물의 색을 더럽히고 물 속의 산소를 고갈시키며, 수생동물과 물새에 해를 끼치고 사람의 피부와 호흡계에 염증을 일으킨다. 조류(藻類)·규조류·쌍편모조류 같은 단세포 종류들이 몇 시간마다 번식을 하면서 개체군의 폭발적 증가를 주도하는 현상인데, 정상적일 때는 물 1ℓ당 약 1,000개인 개체수가 6,000만 개까지 증가한다.

바다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중위도에서 고위도 지방, 특히 극지에 가까운 지방에서 이른봄에 일어난다. 이 지역에서는 겨울 동안 식물성 플랑크톤이 번성하지 않는데 이는 일조시간이 짧고 그 강도도 약하기 때문이며, 또한 동물성 플랑크톤이 이들을 잡아먹기 때문이다. 겨울 동안 심해수(深海水)가 솟구쳐 영양분이 풍부해진 표층수에는 봄이 되어 햇빛이 많이 내리쬐고 광합성이 활발해짐에 따라 성장이 빨라지게 된다.

북반구에서 물꽃은 4월경에 절정을 이룬다. 한여름쯤 되면 표층수의 영양분은 다 소모되고 식물성 플랑크톤은 아주 적어진다(→ 플랑크톤). 9월에 가을 폭풍이 일어나 여름에 형성된 수층이 깨지면서 새로운 영양분이 다시 위로 올라오면 2번째 물꽃이 일어난다. 하지만 태양빛이 약해지면서 광합성도 줄어든다.

그러나 물꽃이 고위도·중위도 지방에만 나타나거나 특정 계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걸프 해안에 엄청난 폭우로 인해 농업·산업 폐기물이 많이 쓸려내려왔을 때 이 해안을 따라 쌍편모조류인 김노디니움 브레비스가 물꽃을 일으켰다. 이런 생물들이 엄청나게 많아지면 물이 붉은색으로 변하는데, 이것을 적조현상이라고 한다. 홍해(紅海)는 조류인 트리코데스미움 에리트라이움(Trichodesmium erythraeum)이 때때로 물꽃을 일으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적조현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식

음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물꽃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