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문치주의

다른 표기 언어 文治主義

요약 예(禮)와 덕을 바탕으로 하는 유교 정치이념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는 정치지배 형태의 통칭.

동양의 역대 왕조에서는 유교를 주된 정치이념으로 삼았는데, 유교 정치사상에서는 예와 덕에 의한 위로부터의 도덕적 교화를 통치의 근본원리로 삼았다. 이에 문치주의는 원리적인 측면에서 유교 정치이념의 실현수단인 예와 덕을 바탕으로 민을 교화시키고 국가를 지배·운영해나가는 구체적인 실현형태였다.

따라서 도덕적 교화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정치이념으로서의 문치주의는 예치주의(禮治主義) 혹은 덕치주의와 상통한다. 이러한 문치주의는 하(夏)·은(殷)·주(周) 나라 이래 보편적인 유교의 정치이념으로 간주되었다. 〈예기 禮記〉 제법(祭法)에서는, 문왕은 문치에 의해, 무왕(武王)은 무공에 의해 백성들의 고통을 해소했다고 해, 문치를 무공과 대응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또한 〈한서 漢書〉 육가전(陸賈傳), 〈자치통감 資治通鑑〉 당기(唐紀) 등에서도 역대의 통치자들이 문치와 무공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많은 고심을 했음을 잘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천명(天命)을 상실한 포악한 군주를 토벌하는 방벌(放伐)이나 난의 평정시에는 무공을, 수성(守城)할 때는 문치를 위주로 했다. 따라서 방벌과 같은 혁명론에서 의미하는 무공은 왕도(王道)에 대립하는 패도(覇道)와는 그 개념을 달리한다. 대체로 유가에서는 법을 패도의 수단으로 인정했을 뿐, 유교 정치이념의 지향점인 이상적인 도덕정치 즉 왕도정치(王道政治)의 수단으로는 인정하지 않았다. 문치주의를 표방하는 일반적인 국가정책으로서는 인정(仁政)을 베풀고 학교를 세우고, 과거를 실시하고 숨은 현자를 등용하며, 절의(節義)를 표창하고 농상을 권장하며, 문헌을 정비하고 사서(史書)를 편찬하며, 예악(禮樂)을 제정하고 하늘과 조상에 제사를 지내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동양의 역대 왕조는 예와 덕을 전제로 하는 원리적·이상적인 측면의 문치주의를 왕조의 정통성과 중세적 지배질서의 유지를 위한 가부장적 전제권력의 도구로 이용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문치주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