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도 중부와 북부에서 약 900만 명의 문다인이 쓰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일부 학자들은 이 어족을 산탈리어·문다리어·부미지어·호어비로르어·코다어·투리어·아수리어·코르와어·카리아어로 이루어진 북부어군(비하르, 벵골, 오리사 주를 포함하는 초타나그푸르 고원에서 쓰는 언어들), 주앙어·소라어(사오라어, 또는 사바라어라고도 부름)·가다바어로 이루어진 남부어군(오리사 주 중부지역 및 안드라프라데시 주와 오리사 주의 경계선 연변에서 쓰는 언어들), 마디아프라데시 주의 마하데오 산맥에서 쓰는 코르쿠어 하나로만 이루어진 서부어군으로 분류한다. 이와는 달리 카리아어를 남부어군에 포함시키고 코르쿠어를 북부어군에 포함시키는 학자도 있다. 두 어군 중에서는 북부어군이 더 중요한데 문다어 사용자의 약 88%가 쓰고 있다.
북부 문다어군의 주요 언어인 산탈리어 다음으로는 문다리어와 호어를 쓰는 사람이 많고, 코르쿠어와 소라어가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언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문다어는 고립된 소규모 집단이 쓰며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카리카어와 코르쿠어를 제외한 북부 문다어군은 케르와리어군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일부 학자들은 코르쿠어권 북부에서 사용하는 나할리어를 문다어족에 포함시키되 이 언어 하나만을 별개의 어파로 분류하기도 한다.
문다어족의 특징은 명사가 3가지 수(단수·양수·복수)와 2가지 성(생물·무생물)을 가지며, 동사의 시제를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나 조동사를 쓴다는 점이다. 문다어족의 발음체계를 볼 때 낱말 중간을 제외하고는 자음이 연달아 쓰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음절을 이용해 고음과 저음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코르쿠어를 제외하면 모든 문다어는 낱말의 강세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