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무덤의 외형과 내부구조는 각저총과 같다. 무덤의 봉토는 방대형이며 묘실의 방향은 서남향이다. 널길·앞방·널방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으로, 앞방 천장은 궁륭식이고 널방 천장은 평행8각굄식이다. 앞방의 너비는 3.3m, 길이 0.9m이며 널방의 너비와 길이는 3.2m로 정4각형이다. 널방 서편 바닥에는 4장의 판석으로 이루어진 널받침이 놓여 있다. 묘실의 벽과 천장에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인물풍속을 주제로 그림을 그렸다. 벽화색채의 주조는 황색과 갈색 등 난색계통이다.
널방의 서북벽 왼편에 그려진 수렵도는 표현의 고졸성에도 불구하고 시원스런 공간배치와 생동감 있는 필치로 인해 고구려 고분벽화 초기의 대표작으로 알려졌다. 무용총은 두방무덤이지만 앞방이 퇴화되는 단계를 보이며, 5세기 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덤의 외형과 내부구조 등은 나란히 붙어 있는 각저총과 같다.
무덤의 봉토는 방대형이며 묘실의 방향은 서남향이다. 널길[羨道]·앞방[前室]·널방[玄室]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이며, 앞방 천장은 궁륭식이고 널방 천장은 평행8각굄식이다. 앞방의 너비는 3.3m, 길이 0.9m이며 널방의 너비와 길이는 3.2m로 정4각형이다. 널방 서편 바닥에는 4장의 판석으로 이루어진 널받침이 놓여 있다. 묘실의 벽과 천장에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인물풍속을 주제로 한 그림을 그렸다. 벽화색채의 주조는 황색과 갈색 등 난색계통이다. 앞방과 널방의 각벽 구석과 벽 상단에는 기둥과 들보, 소슬을 그려 묘실이 목조가옥인 듯한 느낌이 들게 했다.
앞방 남동벽에는 각저총에서와 같은 도식적인 형태의 나무를 그렸고 북동벽에는 지붕 위에 연봉오리가 장식된 가옥을 묘사했다. 서북벽에는 머리에 절풍(折風)을 쓰고 고구려식의 점무늬 바지·저고리를 입은 두 남자를 그렸으며 서남벽에는 벽에 걸린 2개의 말안장을 묘사했다. 동북벽에는 탁자를 사이에 두고 마주앉은 두 인물을 나타냈는데, 이 가운데 오른쪽 인물은 머리에 방건(方巾)을 썼다.
널방의 서북벽에는 화면 오른쪽 2/3 지점에 있는 커다란 나무를 경계로 하여 그 왼편에는 수렵도를, 오른편에는 2대의 우차(牛車)와 차부를 그렸다.
그리고 도안화된 산악과 나무들 사이로 새깃털장식관[鳥羽揷冠]과 검은 두건을 쓴 기마 인물들이 사슴과 호랑이를 사냥하는 모습을 그린 수렵도는, 표현의 고졸성에도 불구하고 시원스런 공간배치와 생동감있는 필치로 인하여 고구려 고분벽화 초기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그림이다. 널방 입구인 서남벽 좌우에는 각각 나무가 1그루씩 그려져 있다.
널방 동남벽에는 묘실주인으로 보이는 기마인물을 중심으로 그 오른편에는 주인의 출타를 노래와 춤으로 전송하는 가무대(歌舞隊)를 묘사했고, 왼편에는 널방 동북벽을 향하여 음식을 나르는 여인들을 그렸다. 널방 안벽에 해당하는 동북벽에는 묘주인이 승려복장을 한 2명의 인물과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동북벽 하단에는 묘주인의 호위무사인 듯한 인물 7명이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었는데, 얼굴만 남고 나머지는 떨어져나갔다. 널방 천장부의 벽화는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내용이 비교적 풍부하다.
널방 천장부분의 천장고임에는 사람머리의 새 모습인 인면조(人面鳥)가 그려져 있다. 인면조가 쓴 긴 모자는 신선들이 즐겨 쓰던 것임에 미루어 보아, 불교에서 전래된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迦陵頻伽)에 도교의 상상력이 결합되어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가릉빈가는 산스크리트의 칼라빈카(Kalavinka)를 음역한 것으로, 머리와 팔은 사람의 모습을 했으며, 원래는 봉황의 형태에서 발전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널방벽과 잇닿는 평행굄 제1단에는 삼각화염무늬가 잇달아 그려졌으며 제2단에는 하늘로 떠오르는 연봉오리와 연꽃이 교대로 묘사되었다.
제3단에는 각종 상서동물과 선인(仙人)이 그려졌다. 동북측에는 역사(力士) 2명이 태껸류의 무술을 겨루는 모습이 그려졌고 서북측에는 청룡과 나무, 평상에 각기 앉은 두 인물이 묘사되었다. 두 인물 가운데 오른쪽의 인물은 반가좌의 자세로 평상에 걸터앉아 무엇인가를 종이에 쓰고 있으며 왼편의 인물은 평상에 앉은 채로 비스듬히 몸을 뒤로 제끼고 있다. 동남측에는 혀를 길게 내밀고 오른쪽을 향하여 달려가는 백호와 거문고를 타는 두 인물이 그려져 있다.
두 인물의 소매와 바지끝은 좌우로 갈라졌고 그 끝이 뾰족하고 날카롭다. 서남측의 한 가운데에는 닭을 연상시키는 주작 1쌍이 마주보며 서 있다. 5단에 이르는 8각굄부에는 일상(日像)·월상(月像)을 비롯한 각종 별자리와 비천(飛天)·주악천(奏樂天)·상서동물들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들 사이로 평행굄 제2단에 그려진 것과 같은 연꽃과 하늘을 상징하는 구름이 점점이 그려져 있다.
일상은 붉은 원 안의 검은 삼족오(三足烏)로, 월상은 노란 원 안의 두꺼비로 표현되었다. 별자리 사이의 연꽃은 평행굄 제2단의 연꽃과 같이 갈고리형 꽃받침과 받침줄기를 지니고 있으며 꽃잎끝이 뾰족하고 꽃술과 잎맥이 측면에서도 투시되고 있다.
무용총은 두방무덤이나 앞방이 퇴화되는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인물풍속 위주의 벽화 중에 4신(神)의 일부가 나타나는 점, 불교의 화생(化生) 관념을 반영하는 표현의 출현 등으로 보아 5세기 전반에 축조된 고분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