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무속음악의 반주음악

다른 표기 언어

무속음악의 반주음악에는 무가·무무·기타의 반주음악이 있는데, 무속음악의 장단과 반주 또한 지역마다 다르다.

선율악기가 연주되는 지역에서는 무용반주나 공악으로 삼현육각이나 시나위를 연주하는데, 경기도 북부에서는 허튼타령·굿거리·삼현도들이·당악·길군악·별우조타령·긴염불·반염불을 치고, 경기도 남부에서는 긴염불·굿거리·삼현도들이·당악·중디박산·시나위·별우조타령·길군악·취타·군악 등을 친다.

충청남도나 전라도에서는 시나위나 굿거리를 주로 치며, 경상남도 남부에서는 시나위·대연극·굿거리를 친다.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북부지방에서는 무가가 비교적 빨라 막장단으로 활기차고 격렬하게 친다. 함경도·강원도·경상도 지방은 혼합박자로 꿋꿋하고 활기차게 연주하며, 경기도 남부, 충청남도, 전라도, 경상남도 남부지방은 느린 장단에 유연하고 흥겹게 연주한다.

장단악기가 주로 사용되는 지방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단을 중심으로 반주음악이 연주된다.

함경도지방에서는 정적기·에루게장기 등을, 경상남도 남부에서는 대머리·덩덕궁이·시님장단을 주로 친다. 경상도·동해안 지방에서는 푸너리·드렁갱이·삼오등·무정작궁이·북단약이 등을, 전라도와 충청남도에서는 덩덕궁이·시님장단을 친다. 경기도 북부에서는 도들이·굿거리·허튼타령·당악 등을, 경기도 남부에서는 경기도 북부에서 사용하는 장단과 함께 반설음·부정놀이·늘림채·진쇠 등을 친다. 황해도에서는 삼현장단·벅구장단·악장단을, 평안도에서는 덕담장단·굿거리장단·악장단을, 제주도에서는 느진연물·중판·자진연물 등을 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악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무속음악의 반주음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