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무속음악의 장단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굿이라고 부르는 무의식(巫儀式)에서 연주되는 음악.

무속음악에 쓰이는 장단도 지방마다 다르다. 서울의 무가에는 굿거리·부정장단·노랫가락장단이 쓰이고, 황해도지방에서는 긴만세장단·산유장단(윤요리장단)·자진만세장단·거상장단이 쓰인다. 무무의 반주로 사용되는 장단은 굿장단·내림장단·벅구장단·삼현장단이 있다.

굿장단은 자진굿거리형, 내림장단은 당악장단형, 벅구장단은 자진모리, 삼현장단은 허튼타령형의 장단이다. 평안도지방의 굿에 사용되는 장단은 특별한 명칭이 없고 그 유형별로 굿거리형·허튼타령형·엇모리형·당악형 등이 사용되는데, 이는 굿의 각 거리 이름을 따서 제석장단·칠성조장단·삼신굿장단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함경도지방의 굿에서 사용되는 장단은 상애짓기장기·전채질장기·드러치기장기·도솔장기·예주게장기·굿거리 등의 장단이 쓰이는데, 이 지방에서는 장단을 장기라고 부른다. 강원도·경상도의 동해안지방에서 쓰이는 장단은 청보장단·제수장단·쪼시개장단·드렁갱이장단·삼공잡이장단·도장장단·고삼장단·자삼장단·도깨끼장단·도살풀이장단(2분박 좀 빠른 6박자)·수부채 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청보장단과 제마수장단이다. 경기도 남부지역의 굿에서 사용하는 장단에는 도살풀이·몰이·덩덕궁이(판소리의 자진모리 장단과 같음)·가래조·오니섭채·삼공잡이·푸살·노랫가락·부정놀이·반설음·진쇠·올림채·넝김채·겹마치·도들이·허튼타령·당악·중모리·중중모리·취타·길군악·긴염불·타령이 있다. 전라북도지방과 충청남도지방에서 쓰는 장단으로는 살풀이·시님·굿거리·덩덕궁이·안진반(불규칙장단이나 2분박 좀 빠른 4박자가 기본이 됨)·외장구·중모리·중중모리가 있다. 전라남도지방에서 사용되는 장단은 흘림(동살풀이)·대학놀이(대황놀이·대왕놀이·대놀이)·진양·중모리·중중모리·떵떵이(덩덕궁이)가 있다. 제주도지방에서 사용하는 장단은 자유 리듬, 불규칙적인 고정박자, 고정박자의 3부류가 있는데 자유 리듬으로 불리는 것은 작은 굿인 비념과 큰굿의 초감제 중 배포도엄침·날과국섬김·집안연우닦음·군문열림에서 불리는 무가의 선율과 귀양풀이무가의 선율, 산받아분부아룀의 무가선율 등이 있다. 불규칙 고정박자가 사용되는 것은 본풀이무가(무당이 직접 장구를 치며 노래하는 것)나 초감제의 추물공연·새다림·오리정함·상계·도진 등의 굿절차에서 볼 수 있다. 고정박자의 장단은 특별한 명칭이 없고 무가의 명칭에 따라서 초공본풀이장단·군웅놀이장단 등의 이름으로 부르는데, 그 특징으로 보아 굿거리형과 자진모리형이 쓰인다. 산유장단·고삼장단·가래조장단·대왕놀이·시님장단·청배장단은 판소리나 산조의 엇모리장단과 같은 것으로 3분박·2분박·3분박·2분박이 섞여 있는 혼합박(10/8)이고, 진양·중모리·중중모리는 판소리나 민요의 진양·중모리·중중모리와 같다. 또한 청보·제마수·쪼시개·드렁갱이는 모두 까다로운 혼합박자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악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무속음악의 장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