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491(성종 22), 경북 경주 |
---|---|
사망 | 1553(명종 8) |
국적 | 조선, 한국 |
종교 | 유교(성리학) |
본관 | 여주 |
시호 | 문원(文元) |
자 | 복고(復古) |
호 | 회재(晦齋) |
요약 조선 중종 때 성리학의 이설을 정립한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의 이설을 정립하여 이황(李滉)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영남학파의 선구자로 추앙받았다. 호는 회재, 자계옹이다. 중종 9년 문과에 급제해 경주 주학교관이 되었으나 인종이 죽자 국사를 관장했고, 명종이 즉위하자 <서계 10조>를 올렸다. 1547년 윤원형과 이기 일파가 조작한 양재역벽서사건에 무고하게 연루돼 강계로 유배돼 성리학 연구에 힘쓰다가 죽었다. 시호는 문원이다. 사후 종묘에 배향되었고 문묘에 종사되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경주 옥산서원 등 여러 서원에 주향되었다.
조선의 유학자. 성리학의 이설을 정립하여 이황(李滉)의 사상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본관은 여주. 초명은 적(迪). 자는 복고, 호는 회재·자계옹. 아버지는 생원 번(蕃)이며, 어머니는 계천군 소(昭)의 딸로 경주손씨(慶州孫氏)이다. 10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외숙인 손중돈(孫仲暾)의 도움으로 생활하며 그에게 배웠다. 1514년(중종 9) 문과에 급제하여 경주 주학교관이 되었다. 이후 성균관전적·인동현감·사헌부지평·이조정랑·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했다.
1530년 사간으로 있을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그들 일당에 의해 몰려 향리인 경주 자옥산에 은거하며 학문에 열중했다. 1537년 김안로 일파가 몰락하자 종부시첨정으로 시강관에 겸직발령되고, 교리·응교 등을 거쳐, 1539년에 전주부윤이 되었다. 이후 이조·예조·병조의 판서를 거쳐 경상도관찰사·한성부판윤이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 인종이 죽자 좌찬성으로 원상(院相)이 되어 국사를 관장했고, 명종이 즉위하자 〈서계 10조(書啓十條)〉를 올렸다.
이해 윤원형(尹元衡)이 주도한 을사사화의 추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스스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1547년 윤원형과 이기(李芑) 일파가 조작한 양재역벽서사건에 무고하게 연루되어 강계로 유배되어 죽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569년(선조2) 명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1573년(선조6) 경주에 건립된 독락당 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왕명으로 옥산서원(玉山書院)이라고 사액이 편액되었다. 1610년(광해군 2)에는 성균관 문묘(文廟)에 종사되었다. 시호(諡號)각주1) 는 문원(文元)이다.
사상과 저술
이언적의 태극론은 영남지방의 선배학자였던 손숙돈(孫叔暾)과 조한보(曺漢輔)의 무극태극논쟁(無極太極論爭)을 비판한 〈서망재망기당무극태극설후(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와 〈답망기당서(答忘機堂書)〉 4편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그는 주자(朱子)의 이기론의 주리론(主理論)적 견해를 수용하여 두 사람을 비판하고,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과 이기불상잡설(理氣不相雜說)을 강조했다.
조선조 성리학사에서 최초의 본격적인 논쟁으로 평가되는 태극개념논쟁 과정 속에서 전개된 그의 이우위설(理優位說)은 이후 이황에 의해 계승·발전되어 영남학파 성리학의 선구가 되었다. 그는 만년에 강계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주요한 저술들을 많이 남겼다. 즉 1549년 저술된 〈대학장구보유 大學章句補遺〉에서는 주자의 격물치지보망장을 인정하지 않고, 〈대학장구〉의 경(經) 1장에 들어 있는 2절(二節)을 격물치지장으로 옮기려 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주자의 일자일구(一字一句)의 수정보완도 주저하던 조선시대 학문태도에서 벗어난 매우 창의적인 학문세계를 보여준다. 또한 1550년에는 〈구인록(求仁錄)〉·〈봉선잡의(奉先雜儀)〉를 저술했다. 〈구인록〉에는 유교의 핵심적 개념인 인(仁)에 대한 그의 집중적인 관심이 나타나 있고, 〈봉선잡의〉는 주자의 〈가례(家禮)〉를 참조하여 당시 사정에 맞게 재구성한 것으로 조선 후기 예학파(禮學派)의 선구가 되었다.
〈중용구경연의 中庸九經衍義〉는 그의 미완성 절필(絶筆)로 주자의 〈중용장구〉나 〈중용혹문〉의 체계를 벗어나 구경을 중심으로 중용정신을 밝힌 저술이다. 그밖의 저서로는 〈속대학혹문 續大學或問〉·〈관서문답록 關西問答錄〉 등이 있으며 문집으로는 〈회재집 晦齋集〉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