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예지드 2세

다른 표기 언어 Bayezid II 동의어 오스만 제국 제8대 술탄
요약 테이블
출생 1447. 12 또는 1448(?). 1, 오스만 제국 트라케 데모티카
사망 1512. 5. 26, 데모티카
국적 오스만

요약 오스만의 술탄(1481~1512 재위).
별칭은 Bayezid Adl대체이미지.

바예지드 2세(Bayezid II)

ⓒ Anonymous/wikipedia | Public Domain

발칸 지방, 소아시아, 동부 지중해에 오스만 통치를 확립하고 페르시아 사파위 왕조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콘스탄티노플의 정복자 술탄 메메드 2세의 맏아들로, 1481년 선왕이 죽자 동생 켐과 왕좌를 놓고 다투었다. 바예지드는 콘스탄티노플의 궁정관리들로 구성된 강력한 파벌의 지지로 술탄 자리에 올랐다. 켐은 로도스의 성 요한 기사단으로 피신했고 1495년 죽을 때까지 거기에 유폐되어 있었다.

술탄에 즉위한 그는 메메드 2세의 정책 중 일부에 반대하는 즉각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슬람 율법의 해설가인 울라마 및 그들과 제휴한 고관들의 영향을 받아 바예지드는 술탄 메메드가 국가를 위해 차압한 종교적인 자선사업용의 이슬람교 재산을 원상회복시켰다. 또한 메메드 2세를 위해 이탈리아 화가들이 제작한 그림들을 궁정에서 제거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선왕에게 두드러졌던 친(親)유럽 성향을 제거했다. 이와 동시에 바예지드 2세는 선왕이 시작한 영토정책을 계속 추진했다. 1483년 발칸 지방의 헤르체고비나를 오스만의 직할령으로 만들었다(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1484년 도나우와 드네스트르 강 어귀에 있는 2개의 요새를 점령해 크림으로 통하는 육로지역에 대한 오스만의 지배력을 강화했다.

크림에서는 크림타타르족의 칸[汗]이 1475년 이래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술탄의 제후로 되어 있었다. 레반트와 발칸 지방에서 베네치아 제국과의 전쟁(1499~1503)을 통해 영토통합정책은 더 큰 진전을 보았다. 그결과 모레아(펠레폰네소스)와 아드리아 해안지역에 있던 베네치아 요새들을 정복했다.

소아시아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넓혀가면서 바예지드는 이집트와 시리아에 걸친 맘루크 술탄국과 일찍부터 충돌하게 되었다.

두 나라는 불분명하게 나누어져 있던 국경지대를 서로 자신의 손에 넣어 그곳의 작은 공국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려고 애썼다. 투르크 함대의 수는 베네치아 제국 대부분을 해체해버릴 만큼 충분했으나 바예지드는 그리스도교 세력과 동생 켐이 연합하여 대항해올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에 맘루크와의 싸움에는 소규모의 군사만을 보냈다. 오랜 영토전쟁은 교착상태로 끝났다.

훨씬 더 심각한 사태가 소아시아의 동쪽 지역에서 발생했다.

1499년 이단적인 이슬람교 사파위 종단의 추종자들은 에스마일 1세(이스마일 1세)를 중심으로 페르시아에 강력한 정권을 수립했다. 사파위 종단의 종교적 가르침은 소아시아의 투르크멘 유목 부족 사이에 널리 퍼져 이들 부족의 전사들이 샤 에스마일 군대에서 주요역할을 담당했다. 사파위 종단 세력이 방해없이 계속 전파된다면 아시아 지역에 대한 오스만 통치를 잠식하리라는 것은 분명했다. 이런 위험성은 1511년 소아시아에서 에스마일 추종자들이 오스만에 반대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사실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시기에 술탄 계승을 두고 바예지드의 아들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다. 아들 가운데 트레비존드의 총독이던 셀림은 1511년 크림으로 가서 타타르 칸의 지원을 얻고 도나우 강을 건너 발칸으로 들어왔다. 바예지드군에게 패배한 그는 크림으로 도망갔다. 그 사이에 사파위 종단의 반란은 진압되었다. 진압전에 참여한 다른 아들, 아메드는 콘스탄티노플로 진군해왔다. 그러나 재너서리(14~19세기 투르크 근위보병)의 지지를 받지 못하자 되돌아가서 소아시아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

바예지드는 아메드가 에스마일 샤에게서 지원을 구할지도 모른다는 점을 염려하고 또한 셀림을 지지하는 일부 측근들과 재너서리 부대의 압력을 이겨내지 못해 크림에 있는 셀림을 돌아오게 했다. 1512년 4월 셀림에게 양위한 바예지드는 바로 다음달에 사망했다. 백성들에게 아들리로 불린 바예지드 2세는 독실한 이슬람교도로서 〈코란〉과 이슬람 율법을 엄격하게 지켰다. 치세 동안 국가세입의 많은 부분을 모스크·대학·병원·교량 건설에 썼다.

또한 오스만 제국 내외의 법률학자·문학가·시인들을 지원했으며, 철학과 천지학(天地學)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바예지드 2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