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르가스

다른 표기 언어 Getúlio (Dorneles) Vargas
요약 테이블
출생 1883. 4. 19, 브라질 상보르자
사망 1954. 8. 24, 리우데자네이루
국적 브라질

요약 브라질의 대통령(1930~45, 1951~54).

사회·경제 개혁을 추진해 브라질의 현대화에 기여했다. 부도덕한 독재자라는 비난이 있지만 대기업과 대지주에 맞서 싸웠기에 '빈민의 대부'로서 존경을 받기도 했다.

리우그란데두술 주의 정치가 집안에서 태어나 16세에 군경력을 염두에 두고 육군에 입대했으나 곧 법률을 공부하기로 마음을 바꾸었다. 1908년 포르투알레그레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곧바로 정치에 입문했으며 1922년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어 4년간 몸담았다.

1926년 워싱턴 루이스 페레이라 데 소자 대통령 정부의 재무장관이 되었고 1928년에는 리우그란데두술의 주지사로 당선되었다. 1930년 개혁을 표방하며 대통령 선거에 나섰으나, 낙선하자 패배를 시인하는 척하다가 그해 10월 측근들과 함께 혁명을 일으켜 정부를 전복시켰다. 바르가스는 이후 15년간의 임기 대부분을 의회 없이 통치했다.

그는 1930년 11월 3일부터 1934년 7월 17일 대통령으로 정식 선출될 때까지 임시대통령으로서 독재적 권력을 행사했다. 1937년에는 정국불안정을 이유로 친정(親政) 쿠데타를 감행, 입헌정부를 무너뜨리고 이른바 전체주의 '신국가'(Estado Novo)를 수립했다(→ 에스타두노부).

1930년 이전의 브라질 연방은 사실상 지방의 지주들이 통치했던 자치주 연합으로서 농산물수출을 주요재원으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제도는 바르가스 통치하에서 붕괴되었다. 주와 지방행정이 중앙정부에 의존하도록 세무구조를 개편했으며 선거인 수를 4배로 늘리고 비밀투표를 인정하는 한편 부녀자들에게도 참정권을 부여했다.

광범위한 교육개혁이 시도되고 사회보장법들이 제정되었으며 정부가 직접 노동조합을 조직·관리했다. 노동자들은 최저 임금제를 비롯한 다양한 혜택을 보장받았고 기업은 급속한 공업화계획에 고무되었다. 바르가스는 함부로 사기업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그가 추진한 사회개혁이 농촌의 빈민들에까지 미친 것도 아니었다. 1945년 10월 29일 전후 브라질을 휩쓴 민주주의의 열기를 배경으로 쿠데타가 일어나 정부를 붕괴시켰다.

바르가스는 아직도 폭넓은 지지기반을 가지고 있었고 그해 12월의 총선에서 리우그란데두술 주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50년 노동당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임하기까지 사실상 은퇴생활을 했다. 1951년 1월 31일 바르가스는 다시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

의회 및 정당과 여론이 민선 대통령의 권한행사를 제한했기 때문에 바르가스는 자신을 추종하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었고 급등하는 중산층의 불만을 누그러뜨릴 수도 없었으며 점차 국수주의적인 호소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1954년 중반에 들어서면서 대정부 비판은 일반적인 것이 되었고 정권 내부에서 발생한 추문으로 충격을 받은 군부가 하야 요구에 합세했다. 1954년 8월 24일 바르가스는 강요된 사퇴보다는 죽음을 선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대통령

대통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바르가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