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나나

다른 표기 언어 banana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생강목 > 파초과 > 파초속
원산지 아시아
서식지 열대지방
크기 약 3m ~ 10m
학명 Musa paradisiaca L.

요약 생강목 파초과에 속하는 식용작물. 바나나 식용 사실이 그리스 초기, 라틴, 아랍의 기록에도 나타나 있다. 주산지는 열대지방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식용작물 가운데 하나이다. 키가 큰 풀로 뿌리줄기에서 나온 헛줄기가 높이 3~6m까지 이르고, 잎은 길이 3~3.5m, 너비 65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번식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싹과 헛비늘줄기의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심은 지 10~15개월이 지나면 바나나가 익게 되고 그 다음부터는 얼마 동안 계속 열매를 딸 수 있다. 재배량이 계속 증가되었고, 그 품종들도 수백 가지이다.

바나나

ⓒ WIKIMEDIA COMMONS (Lviatour) | public domain

개요

파초과 파초속에 속하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식용작물. 학명은 Musa paradisiaca L.이다. 바나나를 먹었다는 사실은 그리스 초기, 라틴, 아랍의 기록에도 잘 나타나 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인도를 원정하면서 바나나를 보았다고 한다. 아메리카 대륙이 발견되자마자 바나나는 카나리아 제도에서 신대륙으로 옮겨갔다. 신대륙에서 만들어진 히스파뇰라(Hispaniola)가 곧 다른 섬과 대륙에도 퍼지게 되었다. 바나나 재배는 계속 증가되어 세계 여러 지역에서 주요 식량으로 쓰였으며 19세기에 이르러 미국의 시장에 나오기 시작했다.

형태

식물체는 키가 큰 풀로 뿌리줄기에서 나온 헛줄기(疑莖)가 높이 3~6m까지 이른다. 헛줄기는 잎집의 아랫부분이 서로 싸여 생긴 것으로 10~20개 되는 긴 타원형의 잎들이 그 위에 로제트를 이룬다. 잎은 길이 3~3.5m, 너비 65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수많은 노란색 꽃들로 이루어진 큰 수상(穗狀)꽃차례는 헛줄기의 꼭대기에 생기며 이것이 아래로 처지면서 50~150개의 과지(果指)가 달린다. 이 과지는 다발을 이루어 10~20개의 과장(果掌)이 되며 이러한 과장들이 모여 하나의 과방(果房)을 이룬다.

각 식물체는 과방을 한번만 맺기 때문에 바나나를 1번 따고 난 후에는 밑동을 잘라버리는데, 열매를 맺고 죽은 뒤 약 6개월이 지나면 땅속줄기에서 새로운 어린 줄기가 나와 자란다. 땅속줄기는 이렇게 여러 해를 살 수 있으며, 여기서 땅을 뚫고 나오는 어린 줄기 가운데 약한 것은 주기적으로 잘라내고 튼튼한 것만 골라서 열매를 맺게 한다.

특성

상업적으로 바람직한 바나나는 1과방에 9개 이상의 과장이 달리고 무게도 22~65kg은 나가야 한다. 보통 1에이커의 땅에서 이런 과방이 한 해에 300개 이상 생산된다. 잘 익은 바나나에는 주로 당으로 이루어진 탄수화물이 22% 정도 들어 있으며, 이밖에 칼륨이 많고 비타민 C와 A도 들어 있지만 단백질과 지방은 적은 편이다.

또한 물이 75% 정도 들어 있다. 보통 날로 먹지만 기름에 튀기거나 짓이겨서 차갑게 한 다음 파이나 푸딩을 만들어 먹기도 하며 머핀·케이크·빵 등의 맛을 내는 데 쓰기도 한다. 요리용 품종인 플랜틴은 다 익은 열매가 다른 바나나와는 달리 단맛이 별로 나지 않고 녹말이 많이 들어 있다. 이 식물은 주로 열대지방에서 널리 재배하여 먹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팔린다(→ 플랜틴).

종류

재배 품종들은 수백 가지나 되며 지방에 따라 한 가지 바나나에 붙이는 이름이 서로 다르고 같은 품종에도 여러 이름이 붙기 때문에 혼동이 일고 있다. 가장 중요한 종은 바나나로, 여기에는 몇 가지 변종이 있는데, 이중 그로미셸(Gros Michel)이 가장 많이 소비된다.

재배법

원래 물기가 많은 열대지방의 땅이 깊고 부드러우며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지만, 자메이카 남부지방처럼 반건조 기후지역에서도 물만 잘 대주면 아주 잘 자란다. 번식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싹과 헛비늘줄기의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심은 지 10~15개월이 지나면 바나나가 익게 되고 그 다음부터는 얼마 동안 계속 열매를 딸 수 있다. 지나치게 자라서 우거지는 것을 막기 위해 종종 가지치기를 해주어야 한다.

바나나는 근방에서 소비될 때에는 덜 익은 열매를 딴다. 수출을 할 경우에는 시장까지의 거리와 수송방법 등에 따라서 익은 정도가 서로 다른 열매를 따며, 배에 실은 다음 흔히 바나나에 에틸렌 가스를 쬐어 인위적으로 더 익게 하고 있다. 특별히 고안된 냉동선으로 열대지방에서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소비지역까지 수송할 수도 있다.

현황

주요 생산국으로는 중앙 아메리카와 서인도제도의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과테말라, 멕시코, 파나마, 도미니카 공화국, 과들루프, 자메이카, 마르티니크와 남아메리카의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및 아프리카의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에티오피아, 카메룬, 기니, 나이지리아 그리고 아시아의 타이완 등이다. 미국에서 가장 많은 바나나를 수입하며 영국과 그 밖의 유럽 서부 국가들도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바나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