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편백나무

다른 표기 언어 hinoki cypress
요약 테이블
분류 식물계 > 관다발식물문 > 구과식물강 > 구과목 > 측백나무과 > 편백속
원산지 일본
서식지 일본, 한국의 제주도와 남부 지방
크기 높이 40m
학명 Chamaecyparis obtusa
분포지역 한국, 일본의 온난대 기후 지역

요약 일본의 대표적 수목 가운데 하나. 목질이 좋고 향이 뛰어나 실용성이 높다. 가구 제작은 물론 건물의 내부 벽체, 인테리어용으로 널리 쓰인다. 편백에 함유된 피톤치드가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베개, 벽지, 도마, 장난감 등 편백을 이용한 각종 생활용품이 널리 쓰이고 있다. 한국에는 제주도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

ⓒ Σ64 | CC BY

개요

구과목 측백나무과 편백속에 속하는 나무. 일본이 원산지로 회목(檜木) 또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히노끼(ヒノキ)’라는 일본어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일본의 대표적 수목 가운데 하나로 목질이 좋고 향이 뛰어나 실용성이 높다. 한국에는 1900년대 초 일본에서 들여와 방풍림으로 조성되었으며, 제주도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특징

성장한 나무는 높이 약 40m, 직경 약 2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섬유성이며 세로로 얇게 벗겨진다. 작은 비늘 모양의 잎이 가지에 빽빽하게 난다. 잎은 마주 나고 두꺼우며 뒷면의 기공조선각주1) (氣孔條線)은 Y자 형이다. 잎 표면에는 1개의 선(腺)이, 뒷면에는 흰 점이 있다. 가지는 수평으로 퍼지며, 전체적인 나무의 모양은 원뿔 모양이다.

봄에 가지 위에 작은 꽃이 피고 가을에 녹색의 열매를 맺는데, 10월경에는 갈색을 띤다. 둥근 열매는 지름 1㎝ 정도이며, 8~10개의 조각으로 되어 있다. 각 조각에 씨가 2개씩 들어 있다. 침엽수이지만 의외로 추위에 약해 따뜻한 지방에서 자란다.

활용

일본의 대표적 수목 가운데 하나로 가구용 목재로 많이 쓰인다. 목재의 표면은 매끄럽고 향이 좋아 니스나 페인트칠 없이 원목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다. 건물 내부의 마감재로 인기가 있고, 일본에서는 특히 욕실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한국

한국에서는 제주도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한다. 편백나무의 향에 피톤치드가 함유돼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식재가 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따라 생육 가능 지역이 북상하면서 재배 지역도 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14년 편백잎에서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 속의 에레몰(elemol)이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나무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편백나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