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명명법

다른 표기 언어 nomenclature , 命名法 , <일>めいめいほう

요약 생물 분류에서 생물체에게 이름을 붙이는 방법.

종의 학명은 생물이 속한 명과 명(種名)의 두 단어로 나타내는데 이는 여러 어원을 갖는 라틴어 단어들이다.

린네식 이명법(二名法)이라 불리는 이 방법은 1750년 린네에 의해 확립되었으며, 린네 이명법의 확산 이후 새로운 종들이 확립되고 상위 범주들이 형성되었다(→ 린네). 그결과로 19세기말에는 많은 생물 집단들의 명명법에 큰 혼란이 생겼는데 20세기 들어 동물학·식물학·세균학·바이러스학 분야의 국제위원회에서 규칙들이 만들어지면서 이런 혼란은 많이 사라졌다.

학명이란 한번 주어지면 고정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는 생각과는 반대로, 생물들 사이의 유연관계가 계속 연구되고 학명들의 유래가 면밀히 조사되며, 또한 여기에 유효성을 둘러싼 과학자들의 의견 충돌이 덧붙여지면서, 잘 알려져 있는 몇몇 종들에까지 여러 개의 이름이 붙는 결과가 생겼다. 그러나 국제 규칙이 생기면서 생물분류도 점차 안정되어가고 있는데, 이는 이름의 변경을 최소화시키고 새로운 이름을 확립하는 데 표준 방법들을 사용하고 권위 있는 위원회들이 논쟁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해졌다(→ 분류학).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명명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