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말의 형태와 기능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포유강(哺乳綱 Mammalia) 말목(―目 Perissodactyla) 말과(―科 Equidae)에 속하는 동물.

ⓒ WIKIMEDIA COMMONS (Just chaos) | cc-by

해부학적 적응

원시마(原始馬)는 어깨높이가 120cm 정도에 암갈색을 띠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스탕처럼 한때 길들여졌으나 야생으로 돌아간 말은 무작위적인 번식을 통해 원시적인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무스탕의 어깨높이는 약 150cm이다. 말의 전반적인 모습에는 빠른 동물이 지니는 특징들이 나타난다. 즉 다리의 장골이 앞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활차 관절을 축으로 회전하고, 에너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지가 근육에 대해 지렛대 역할을 한다(골격).

말의 는 크고 복잡하며, 근육의 공조를 지배하는 부위가 잘 발달되어 있다.

또한 말은 조련사의 미묘한 신호도 감지할 수 있는 예민한 지각능력을 갖고 태어난다. 다른 초식동물처럼 말은 풀을 잘게 부수기에 적합한 강하고 치관이 높은 이빨과 셀룰로오스 소화에 적합한 긴 소화기관을 갖는다. 말의 유치는 생후 약 2년 6개월에 갈기 시작하며, 생후 4~5년이면 36~40개에 이르는 영구치가 완전히 발달한다. 종마(種馬)의 경우, 12개의 절치와 암말에는 없으며 현대마(現代馬)에는 흔적으로만 남아 있는 4개의 견치, 그리고 각각 12개씩의 소구치 및 대구치가 상악·하악에 나뉘어 있다.

말은 체격에 따라 사지가 크고 어깨높이가 200cm에 달하는 수렛말, 어깨높이가 144cm 이하인 조랑말, 수렛말과 조랑말의 중간크기인 승용마로 구분된다. 길들인 말은 대개 근시이고, 조상 말보다 강인하지 못하며 매우 예민하다. 그리고 는 비교적 작다.

조랑말

ⓒ 타이거 | cc-by-nc-nd

감각기관

길쭉한 머리 뒤쪽에 달린 커다란 은 말의 주요방어수단인 도주에 적합하다.

말은 목이 길고 눈이 높이 달려 사람보다 훨씬 시야가 넓으며 위험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시력이 상당히 좋지만 초점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지 못해 다른 거리의 물체를 볼 때는 머리를 기울여 그것의 상이 망막의 다른 부위에 맺히게 해야 한다. 그외 후각 및 청각도 사람보다 예민하다.

털의 색깔과 무늬

검은색·적갈색·흰색·담황색 등이 주요한 색깔이다(채색). 검은색 말은 얼굴에 흰 점이 있고 발목도 흰 경우가 있으나 그외에는 몸전체가 검은색이다.

갈색 말도 콧잔등·눈·다리·등의 색이 옅은 부위를 제외하고는 거의 검은색을 띠며, 암갈색 말은 갈기와 꼬리, 그리고 대개는 발목이 검은색이며 다른 부위는 적갈색이나 황갈색부터 모래색까지의 색조를 띤다. 흰색 말도 출생시는 암갈색이나 검은색이다가 나이가 들면서 희어지는 것, 출생시 흰색 또는 회색에 밤색이 섞여 있는 것, 얼룩무늬가 있는 것 등 다양하다.

영양

자연상태의 말은 풀을 먹지만 사육시에는 건초나 곡물을 준다.

보통 작업 직전이나 직후에는 소화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급식하지 않으며, 신선한 음료수의 공급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 후 흥분된 상태에서 물을 주어서는 안 된다. 주로 건초를 먹이지만, 영양가가 가장 높은 작물은 귀리이다. 그외 옥수수도 비육사료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땀을 많이 흘리게 한다. 또 훈련중에는 빵·설탕·당근을 상으로 주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균형있는 식이를 위해 건초와 함께 광물질·비타민 그리고 그밖의 영양분이 포함된 사료를 공급한다.

행동

말은 신경계가 잘 발달되어 있다.

새끼는 출생한 지 얼마 안 되어 일어서며, 몇 시간이 지나면 어미를 따라다닌다. 한편 말은 위험이 닥치면 대부분 도주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하거나 잔인한 학대를 받는 경우가 아니면 거의 공격하지 않는다. 또 말은 본능적으로 예민하여 물·불, 심지어는 멀리 있는 위험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말은 뛰어난 방향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한번 경험했던 두려운 물체나 장소는 계속해서 피하는 시각적인 기억능력도 가지고 있다. 조련사는 말을 훈련시킬 때 항상 동일한 말과 음조를 사용하는데, 영리한 말은 조련사가 원하는 동작과 특정한 소리를 청각적 기억능력을 이용하여 서로 연관시킨다.

말은 본능적으로 기수의 불안이나 두려움을 감지할 수 있어, 기수를 무시하거나 심지어 전혀 말을 듣지 않는 경우도 있다. 혈통이 우수한 말은 특히 더욱 영악해 질투는 물론이고 신뢰나 애정표현까지 보인다.

생식과 발생

말은 생후 16~18개월경에 성징이 나타나며, 3~5년이면 완전히 성숙한다.

번식능력은 서러브레드의 경우 20세, 다른 품종은 12~15세에도 지속된다. 임신기간은 11개월이고, 새끼가 생존하여 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임신기간은 280일이다. 새끼는 보통 1번에 1마리를 낳고, 이유(離乳)는 생후 6개월에 한다. 말은 작업량과 사육사의 관리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달라진다. 충분한 발육기간을 거쳐 천천히 조심스럽게 훈련시킨 말은 그렇지 않은 말보다 더 오래 이용된다. 말은 수명이 20~25년(최고 30~35년)인데, 큰 말보다는 조랑말이 오래 산다.

한편 평균수명 이상으로 생존한 말이 많은데, 빈수의과대학에는 44세까지 산 서러브레드 암말의 골격이 보존되어 있다.

질병과 기생충

말은 유행성 감기, 선역(腺疫), 호흡기의 화농성 질환, 뇌척수염, 전염성 빈혈에 이환되기 쉽다.

특히 피부는 진드기 따위의 외부 기생충에 감염되기 쉽고 장에서 말파리·요충·회충 등의 유충이 발육하기도 한다. 불결한 안장과 굴레로 인한 상처 또한 매우 흔한 피부질환이다. 또 천명증(roaring)은 후두가 감염되어 시끄럽게 호흡하는 질병이며, 만성천식(broken wind)은 거의 불치병이다. 말의 다리와 발은 타박상을 입거나 잘 삐며, 외골증(外骨症)·비절내종(飛節內腫)·지골류(趾骨瘤) 같은 뼈의 비정상적 성장, 연골조직의 확대, 발굽 손상 등으로 절름발이가 될 수 있다(동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포유류

포유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말의 형태와 기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