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시니사

다른 표기 언어 Masinissa
요약 테이블
출생 BC 240경
사망 148
국적 누미디아

요약 북아프리카 왕국 누미디아의 통치자.
Massinissa라고도 씀.

제2차 포에니 전쟁(BC 218~201) 말기에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 그의 통치기간 동안 누미디아가 이룩한 정치·경제적 발전은 나중에 로마인들이 이 지역을 정복해 개발할 때 기반이 되었으므로 마시니사의 영향력은 상당히 지속적인 것이었다.

그는 누미디아 부족집단인 마실리족의 족장 아들로, 그의 부족과 동맹관계에 있던 카르타고에서 자랐으며 BC 212~206년 스페인에서 카르타고 편에 서서 로마 군대와 싸웠다. 그러나 카르타고인들이 BC 206년 스페인에서 쫓겨나자 로마 편으로 돌아서서 로마의 카르타고 본토 공격을 지원했다. 아버지가 죽은 뒤에는 로마의 지원을 받아 누미디아 왕위를 놓고 친카르타고파(派)인 마사에실리 부족의 통치자 시팍스와 다투었다.

마시니사는 시팍스와 카르타고인들을 무찌른 뒤 마실리와 마사에실리를 모두 지배하게 되었다. 그는 로마에 무조건 충성했으며 BC 201년 로마와 카르타고 사이에 맺어진 평화조약으로 카르타고가 로마의 허락없이는 방어 목적의 전쟁도 치를 수 없게 된 뒤부터 아프리카에서 그의 입장은 강화되었다. 이 조약으로 인해 마시니사는 로마가 카르타고의 세력 약화를 바라고 있다는 판단만 서면 아프리카에 남아 있는 카르타고의 영토를 얼마든지 침범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최고 목표는 반유목생활을 하는 누미디아 부족들을 통합해 강력한 통일국가를 세우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그는 카르타고의 농업기술을 도입하고 많은 누미디아인들을 강제로 농민으로 정착시켰다.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자신의 지배권을 넓히려 했으나 BC 155년 대카토가 이끄는 로마 사절단이 마시니사와 카르타고 사이의 영토 분쟁을 해결하러 아프리카로 오면서 이러한 희망은 좌절되었다. 카토는 아프리카를 방문한 후부터 카르타고의 파괴를 역설해 결국 목적을 이루었는데, 아마 그는 카르타고의 재기를 지나치게 우려했을 뿐만 아니라 마시니사의 야심도 알아차렸던 것 같다.

BC 149년 로마군이 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 마시니사는 불쾌감을 드러냈지만 로마와의 동맹관계는 BC 148년초 그가 죽을 때까지 지속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마시니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