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브라질 북부 아마조나스 주, 네그루 강 연안 |
---|---|
인구 | 2,341,000명 (2022 추계) |
면적 | 11,401㎢ |
언어 | 포르투갈어 |
대륙 | 남아메리카 |
국가 | 브라질 |
요약 브라질의 행정구역. 아마존 열대우림 중심부 네그루 강이 아마존 강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18㎞ 위쪽 북쪽 둔덕에 자리잡고 있다. 여러 개의 곁수로를 중심으로 구역이 구분되며, 수로에는 다리가 놓여 있다. 1890~1920년 고무 붐에 힘입어 발전했으며 1892년 주교관구 소재지가 되었다. 이 시기에 성당과 아마조나스 극장을 비롯해 장엄한 건물과 집들이 들어섰으며 항구 교역도 시작되었다. 1902년 영국 회사가 개량사업을 시작해 석조부두와 창고, 부동식 부두를 만들었다. 대서양에서 들어오는 외양항행선이 정박하는 주요 항구이자 아마존 강 상류 강변지역의 물품 집산지·보급지로 큰 몫을 하고 있고, 고무, 호두, 자단 기름, 황마와 삼림 산물류 등을 수출한다.
대서양 연안에서 1,450㎞ 내륙으로 들어간 아마존 열대우림 중심부 네그루 강이 아마존 강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18㎞ 위쪽의 네그루 강 북쪽 둔덕을 따라 자리잡고 있다. 강을 굽어보는 단구지역에 있는 마나우스 시는 이가라페('카누 길')라고 하는 여러 개의 곁수로를 중심으로 몇 구역으로 따로 나누어진다. 이 수로들에는 다리가 놓여 있다.
이곳에 처음으로 생긴 유럽인 거주지는 1669년 프란시스쿠 다 모타 팔캉 대위가 세운 조그마한 요새(상주세두리우네그리뉴)이다. 나중에 발달한 전도구와 마을은 비야다바라 또는 바라두리우네그루('바라'는 네그루 강 어귀에 있는 모래톱을 뜻함)라고 했다.
1809년 이곳은 바르셀루스에 이어 리우네그루 총사령관령의 수도가 되었다. 1850년에는 아마조나스 군(나중에 주가 됨)의 수도가 되었으며, 이때 강에 사는 인디언 부족 이름을 따서 마나우스(Manáos:1939년부터 Manaus라고 씀)로 바꿔 부르게 되었다.
1890~1920년 고무 붐에 힘입어 도시가 발전했으며 1892년 주교관구 소재지가 되었다. 성당과 오페라 하우스인 아마조나스 극장(1896)을 비롯하여 장엄한 건물과 집들이 들어섰으며 항구 교역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 1902년 영국 회사가 개량사업을 시작하여 석조부두, 창고 및 해마다 12m까지 차이를 보이는 강물의 수위를 고려한 부동식(浮動式) 부두를 만들었다.
오늘날 마나우스는 대서양에서 들어오는 외양(外洋)항행선이 정박하는 주요내륙항구이자 아마존 강 상류 강변지역의 물품 집산지·보급지로 큰 몫을 하고 있다. 고무, 브라질 호두, 자단 기름, 황마와 상당량의 삼림 산물류 등을 수출한다. 황마로는 밧줄과 커피 부대를 만든다.
1970년대 후반 브라질 정부와 민간회사들은 주변에 있는 다우림지역의 광물 및 농업자원 개발을 위해 벌채작업을 광범위하게 시작했다. 어획물 집산시설 또한 정부 주도로 만들었는데, 피라루쿠의 비늘은 손톱 가는 줄을 만드는 재료로 수출된다. 쇠고기와 수출용 가죽·뿔 제품은 브랑쿠 강 상류의 대초원지역에서 공급된다.
주산업은 양조·조선·비누제조·화학제품생산·전자장비제조·정유업 등이다. 원유는 페루에서 바지선 편으로 아마존 강을 통해 운반된다. 관광업은 1967년 연방정부가 이 도시를 면세구역으로 설정하면서 특히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식물원과 동물원이 있으며, 변두리에는 자연 정글 공원이 있다. 아마존 국립조사연구소(1954), 아마조나스대학교(1965), 나병요양소, 살레시오수도회가 운영하는 고아학교 등이 있으며 국제공항도 있다. 1975년에는 위성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