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할도르 락스네스

다른 표기 언어 Halldór Kiljan Laxness 동의어 할도르 구드욘손 킬얀 락스네스, Halldór Gudjónsson Kiljan Laxness
요약 테이블
출생 1902. 4. 23,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사망 1998. 2. 8, 레이캬비크 근처
국적 아이슬란드

요약 아이슬란드의 소설가.

할도르 락스네스

Halldór Kiljan Laxness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1955년 노벨 문학상, 1969년 소닝상을 수상했다. 청년기를 가족의 농장에서 보냈으며, 17세에 첫 작품을 출판했다. 그리고는 외국으로 나가 남은 생애를 유럽·러시아·미국·동양 등지를 여행하면서 보냈는데, 결국은 항상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어디에 있건 작품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청년 시절 그는 세계의 여러 종교와 철학들에서 만족할 만한 믿음을 찾으려고 한 반항적인 불가지론자였다. 1927년 자서전의 성격이 짙은 첫번째 소설 〈카슈미르의 대직조공 Vefarinn mikli frá Kasmír〉을 발표했다. 이 작품은 자신이 신봉하는 가톨릭에 대한 호교론으로 시작하고 있으나 끝에 가서는 종교적 신념을 버리고 만다.

그 다음해부터 3년간 미국에 머물면서 사회주의로 전환한 뒤 일생 동안 그것을 고수했다.

1930~32년에 다시 아이슬란드로 돌아가 2편의 연작 소설을 썼는데 이들은 1936년 영어로 번역되어 〈살카 발카 Salka Valka〉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사회에 대해 지각있는 비평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이 작품은 아이슬란드의 한 아담하고 발전하는 어촌에서 고기잡이와 교구의 수돗가 주위의 잡담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주민들의 삶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다음 작품인 〈독립한 민중 Sjálfstoett fólk〉(1935)은 아이슬란드 산간지대의 고립된 사회에서 생활하는 한 농부의 삶을 같은 방식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살카 발카〉와 함께 이 소설로 그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때부터 계속 소설을 쓰기 시작했으며, 그 가운데는 대하 역사소설들도 있다. 아울러 희곡도 썼지만 그의 희곡들은 시와 마찬가지로 산문에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다. 그는 아이슬란드의 보수주의자들에게 적대감을 갖고 있었는데, 이들 보수주의자들은 그를 아이슬란드 노동자들과 사회의 비방가이며 아이슬란드 산문을 타락시키는 자라고 규탄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를 현실의 예언자로 환호하며 맞아들였다. 일부 동시대 작가들이 덴마크어나 노르웨이어를 써서 보다 넓은 독자층을 찾으려 한 반면 그는 아이슬란드를 작품의 배경으로 삼고 꾸준히 아이슬란드어로 집필했다. 다작의 작가로서 1970년대에도 여전히 작품활동을 계속해 1970년대 후반에는 4권의 자전적인 작품을 발표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노벨문학상 수상자

추천항목


[Daum백과] 할도르 락스네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