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미시시피 강 바로 서쪽 지역에서 동쪽의 대서양 연안까지의 북아메리카 동부 삼림지대에 살던 원주민.
북쪽으로는 오대호와 오늘날의 캐나다, 동쪽으로는 일리노이·노스캐롤라이나 주 같은 지역에 걸쳐 자리잡고 있었으며, 이로쿼이어(語)·알공킨어·수어 계통의 말을 사용했다.
이들은 주로 자연자원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농사도 지을 수 있는 개방된 지역에 살았다.
따라서 대부분이 남부지역이나 해변·강·호수 등을 끼고 있는 지역에 몰려 있었다. 성(性)에 따른 전문화를 빼면 일의 분업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여자들은 추수·옷만들기·바구니짜기·가사·양육 등을 책임지는 반면, 남자들은 사냥·물고기잡이·집짓기·도구제작·전쟁수행 같은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의 사회에는 부족집단 말고도 '밴드'(band)라는 사회조직 단위가 있었다.
밴드는 특정 지역에 모여 살면서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으로서 같은 이름을 사용했으며, 몇 개 밴드가 모여 단일한 정치단위이자 문화단위인 부족집단을 이루었다. 밴드와 마찬가지로 부족을 구성하던 씨족에는 다른 지역이나 다른 부족 출신 사람들도 포함되었던 것 같다. 한 씨족의 구성원이 되면 여러 가지 의무가 주어졌으며 평생 성실한 의무수행이 요구되었다.
북동부 인디언 추장(sachem)의 영향력은 지도력과 연설능력에 의해 좌우되었지만 그 지위는 보통 세습되었다.
문제가 발생하면 회의를 통해서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방향으로 해결되어야 했으므로 추장은 현명하고 설득력있는 연설가가 되어야 했다. 만장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어떤 일도 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회의는 대개 장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경제체제는 비교적 단순했으며 풍부한 자연자원 이용을 통해 유지되었다. 특히 이로쿼이족은 옥수수같이 성장기간이 긴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지역에서 농사를 지었으며, 주로 옥수수·콩·호박 등의 3종류를 재배했다.
이들은 괭이와 땅 파는 막대기를 사용했지만 가축은 이용하지 않았다. 사냥·물고기잡이·채집활동 등 다른 활동도 많이 했으며 계절에 따라 이동했다.
숲에서 나는 자연재료를 이용해 지은 위그웜(원형 오두막집)과 롱하우스(일자형의 길쭉한 집)가 대표적인 주거형태였다. 카누·눈신발·옷 등을 만드는 재료도 천연자원에서 얻었다. 망토, 길고 품이 큰 겉옷, 치마를 입고 각반을 둘렀으며 모카 신을 신었고 남자들은 허리에 천도 둘렀다.
보석치장이나 그림·문신 등은 모든 사람들이 즐겨하는 장식이었다. 식물성 약물에 대한 지식, 신령세계에 대한 관심, 꿈의 위력에 대한 강조 등 부족민의 신앙체계를 반영하는 주술회(呪術會)가 있었다.
유럽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자 동부 삼림지대 인디언들은 백인들의 영향력과 공격을 막기 위해 밴드끼리 자주 동맹을 맺었다. 이 가운데 이로쿼이 부족들 사이에 평화 정착을 위해 만들어진 이로쿼이 연맹이 가장 강력했다. 17세기에 이로쿼이족이 다른 부족들과 자주 싸움을 일으킨 뒤 유럽인들의 영향력이 더 커졌으며 교역소도 설치되었다.
비버 가죽을 비롯한 모피가 유럽인들과 활발히 교역할 수 있는 특히 이상적인 물건이었다. 유럽인들은 인디언들에게 총을 비롯한 여러 공산품을 제공하면서 화폐 대용으로 조가비구슬을 이용하도록 했다.
유럽인들을 통해 전염병이 퍼져서 많은 인디언들이 죽어갔다(청교도들이 들어오기 전인 1616~17년에도 전염병이 크게 퍼진 적이 있었음). 유럽인들이 옮긴 병 때문에 해안에 살던 알공킨족이 제일 처음 큰 피해를 입었다.
1637년 일어난 피쿼트 전쟁과 1675~76년에 있었던 필립 왕 전쟁 등 유럽인들의 침략에 대항한 인디언들의 반란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들은 생존을 위해서 유럽인의 생활방식을 택하지도 못했으므로 일부 서부로 옮겨갔다. 반면에 이로쿼이족을 비롯한 내륙의 인디언들과 오대호 북쪽의 인디언들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거주했고, 교역을 위해 유럽인들이 이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기 때문에 약간 늦게 전염되었다.
이들은 미국 독립혁명 때까지 조직적이며 강력한 힘을 행사했다.
백인문화를 받아들이지 않은 대부분의 동부 삼림지대 인디언들은 차츰 소멸되거나 서부지역 또는 북쪽의 캐나다로 이주해야만 했다. 일부는 인디언 보호구역에 수용되어 오늘날까지 소수가 남아 있다. 알공킨족 보호구역은 뉴잉글랜드와 롱아일랜드에 있으며 뉴욕 주에는 6곳의 이로쿼이족 보호구역이 있다.
오대호 북쪽에 살던 인디언 가운데 소수는 아직도 그 지역에 살고 있다. 만약 이런 조치가 없었다면 동부 삼림지대 인디언들은 전부 소멸해버렸거나 백인들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융합되어버렸을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북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동부 삼림지대 인디언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