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녕부

다른 표기 언어 東寧府

요약 오랜 항몽전쟁 중 무인집권세력과 왕정복고세력 간에 탈권 싸움이 일어나고, 1269년 무인 집정이던 임연이 원종을 폐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북면 병마사영의 기관 최탄을 중심으로 한 서북면세력이 임연을 타도한다는 구실로 난을 일으켜 북계 54성과 서해도의 6성을 들어 원에 투항했다. 다음해 원은 자비령을 경계로 하여 그 이북의 60성을 동녕부로 편입하고, 서경에 치소를 두었다. 1275년 동녕부를 동녕로총관부로 승격하여 요양행성에 소속시켰다. 1290년 원에서 내안의 일파인 합단적이 고려로 쳐들어와 그것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원은 고려의 요청을 받아들여 동녕부를 만주로 이동하고 서북면을 고려에 돌려주었다. 동녕부는 원의 고려에 대한 분할지배정책에 의해서 설치되었고 그 구성원은 주로 고려에 반역한 자들이었다.

오랜 항몽전쟁 수행과정중 무인집권세력과 왕정복고세력 간에 탈권 싸움이 일어나고, 이 와중에서 1269년(원종 10) 무인 집정이던 임연(林衍)이 원종(元宗)을 폐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북면 병마사영의 기관 최탄(崔坦)을 중심으로 하는 서북면세력이 임연을 타도한다는 구실로 난을 일으켜 북계 54성과 서해도의 6성을 들어 원에 투항했다. 다음해 원은 자비령을 경계로 하여 그 이북의 60성을 동녕부로 편입하고, 서경에 치소를 두어 최탄을 총관으로 삼았다. 1275년(충렬왕 1) 동녕부를 동녕로총관부로 승격하여 요양행성에 소속시켰다. 〈원사 元史〉 지리지에는 동녕로에 속한 군현이 49성으로 나오는데, 60성 중에서 최탄 등에게 투속하지 않았던 의주·정주·인주·위원진은 파사부에 예속되었기 때문이다.

1290년(충렬왕 16) 원에서 내안의 일파인 합단적이 고려로 쳐들어와 그것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원은 고려의 요청을 받아들여 동녕부를 만주로 이동하고 서북면을 고려에 돌려주었다. 이때 영토보다 인민지배를 중시하는 유목민족의 습성으로 민호의 대부분이 만주로 옮겨졌다는 의견이 있다. 옮겨진 동녕부의 중심지는 랴오양[遼陽] 지방이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동녕부는 원의 고려에 대한 분할지배정책에 의해서 설치되었고, 그 구성원이 주로 고려에 반역한 자들이었던만큼 고려와 원의 사이에서 고려에 부정적 기능을 했다.

원 간섭기 시기 고려의 영토

ⓒ 고려/wikipedia | CC BY-SA 4.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동녕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