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독솔로지아

다른 표기 언어 doxologia 동의어 영광송, 榮光頌

요약 하느님을 찬양하는 노래.
(영). doxology.

그리스도교 예배에는 3가지 독솔로지아가 있다. 대영창(大榮唱)은 글로리아 인 엑셀시스(Gloria in Excelsis)라고 하여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 미사의 영광송(Gloria)을 말하는데, 보통 라틴어로 부르며 수백 개의 곡이 있다.

로마 가톨릭 예배서에는 현대어로 번역되어 있고, 성공회·루터교, 그밖의 프로테스탄트교 예배에서는 좀더 오래된 번역본을 쓴다.

현대 로마 가톨릭에서 쓰는 번역은 다음과 같다.

"하늘 높은 곳에는 천주께 영광/땅에서는 마음이 착한 이에게 평화 주 천주여, 하늘의 왕이시여/전능하신 천주 성부여/주를 기리나이다. 찬미하나이다/주를 흠숭하나이다, 높이 받드나이다/주의 영광 참 크시기에 감사하나이다/주 천주여, 성부의 아들이여/외아들 예수 그리스도여, 천주의 어린 양이여,/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성부의 오른편에 앉아계시는 주여/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천주 성부의 영광 안에/성신과 함께/예수 그리스도 홀로 거룩하시고 홀로 주님이시고/홀로 높으시도다.

아멘."

소영창(小榮唱)은 글로리아 파트리(Gloria Patri)라고 하여 대부분 그리스도교 예배식에서 시편송(psalmody)의 끝맺는 부분에 사용한다.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신께/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아멘."

운문영창(韻文榮唱)은 글로리아 파트리가 변한 것이다. 운문영창 중 가장 친근한 것은 17세기 성공회 주교이며 찬송가 작사자인 토머스 이 지은 것이다.

"모든 축복의 근원이신 하느님을 찬양하나이다./땅 위의 모든 피조물이여, 하느님을 찬양할지어다./위에 계신 하느님, 하늘의 주인이시여./성부와 성자와 성신을 찬양하나이다./아멘."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교 교회들은 이 형식을 주로 십일조와 봉헌 때 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악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독솔로지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