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독미나리

다른 표기 언어 Cicuta virosa 동의어 개발나물아재비, 독근, 毒芹, 독물통소대, 독근채화, 毒芹菜花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미나리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유럽
서식지 습지
크기 약 1m
학명 Cicuta virosa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요약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북아메리카와 한국 등이 원산지이고, 습지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m이다. 땅속줄기가 초록색인 것이 특징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독초이지만 뿌리를 말려서 약재로 쓰기도 한다.

독미나리

ⓒ WIKIMEDIA COMMONS (Fabelfroh) | cc-by-sa

개요

쌍떡잎식물강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Cicuta virosa’이다. 사람에게 해로운 독(cicutoxin)이 들어 있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먹으면 신경중추가 마비되며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호흡이 어려워진다.

형태

키가 1m까지 자란다. 지름 2~5cm의 땅속줄기는 초록색이고 매우 크며 가운데가 비어 있어 물속에서도 떠 있을 수 있다. 잎은 2~3번 정도 날개 깃 모양으로 갈라졌으며, 잎자루 밑은 넓게 벌어져 줄기를 감싼다. 꽃은 하얀색이며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핀다. 꽃잎은 5장이며 지름 2.5mm의 초록색 열매는 동그랗게 익는다.

생태

꽃은 6~8월에 피고, 열매는 8월에 맺는다. 일본과 중국 등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강원도와 그 위쪽 지역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활용

기본적으로 독초이기 때문에 활용하지 않는 것이 좋지만, 뿌리의 경우 깨끗이 씻어 잘 말리면 약재로 쓸 수 있으며, 먹지 않고 바르면 예로부터 골수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독미나리

멸종위기식물

추천항목


[Daum백과] 독미나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