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미나리과 |
---|---|
원산지 | 북아메리카,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유럽 |
서식지 | 습지 |
크기 | 약 1m |
학명 | Cicuta virosa |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요약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북아메리카와 한국 등이 원산지이고, 습지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m이다. 땅속줄기가 초록색인 것이 특징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독초이지만 뿌리를 말려서 약재로 쓰기도 한다.
목차
-
개요
-
형태
-
생태
-
활용
개요
쌍떡잎식물강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Cicuta virosa’이다. 사람에게 해로운 독(cicutoxin)이 들어 있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먹으면 신경중추가 마비되며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호흡이 어려워진다.
형태
키가 1m까지 자란다. 지름 2~5cm의 땅속줄기는 초록색이고 매우 크며 가운데가 비어 있어 물속에서도 떠 있을 수 있다. 잎은 2~3번 정도 날개 깃 모양으로 갈라졌으며, 잎자루 밑은 넓게 벌어져 줄기를 감싼다. 꽃은 하얀색이며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핀다. 꽃잎은 5장이며 지름 2.5mm의 초록색 열매는 동그랗게 익는다.
생태
꽃은 6~8월에 피고, 열매는 8월에 맺는다. 일본과 중국 등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강원도와 그 위쪽 지역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활용
기본적으로 독초이기 때문에 활용하지 않는 것이 좋지만, 뿌리의 경우 깨끗이 씻어 잘 말리면 약재로 쓸 수 있으며, 먹지 않고 바르면 예로부터 골수염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